국민안전처가 홍철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11일 기준 전국 시도 중 이용금지 된 어린이놀이시설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55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27개), 강원(19개), 충남(17개), 인천(13개)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어린이놀이시설[1]
반면 부산‧울산의 경우에는 이용금지 된 어린이놀이시설이 없었다.
설치장소별로 보면 주택단지의 어린이놀이시설이 전체의 74.6%인 129개를 차지했으며, 학교(14개), 도시공원(12개), 유치원(11개), 어린이집(6개) 등 순이었다.
홍철호 의원은 “현재 이용금지 된 어린이놀이시설은 문제점이 해결될 때까지 이용금지 표지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놀이시설 진입부를 원천봉쇄하는 등 안전관리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 노후 영세 놀이시설 개선비용을 국가‧지자체가 지원할 수 있도록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개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어린이 놀이시설에 대한 수시·정기 특별 안전점검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