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P2P업체는 2015년 27개에서 2016년 125개, 올해 4월 말 148개로 증가했다. 누적대출액도 1조원을 돌파했다. 2015년 373억원에 불과했던 P2P 누적대출액은 올해 4월 말 1조1298억원으로, 2년도 안돼 30배 넘게 성장했다.
주로 대형사가 성장을 이끌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상위 30사의 시장점유율은 86.1%로 집계됐다. 하위 50사의 시장점유율은 1.0%에 그쳤다.
금융위는 P2P업체가 불건전 영업행태를 보일 경우 은행·저축은행·대부업체 등 P2P업체 연계 금융회사에 대한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지 않으면 대부업체에 시정명령 등 감독상 조치를 내릴 예정이다.
전 금융권을 통틀어 금융당국이 투자자의 투자 금액을 제한하는 곳은 P2P와 기금형 크라우드펀딩 뿐이다. 이처럼 당국이 가이드라인을 도입한 것은 투자자보호를 위해서다. P2P상품은 8~11%의 높은 수익률을 내세워 투자자들을 모객하지만 원금보장이나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는다.
당국은 특히 부동산 관련 P2P대출이 P2P 대출시장의 규모가 빠르게 커지는 원인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면 연체율이 급증해 부실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부동산 관련 대출액이 총 대출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달 기준으로 62%로 절반을 넘는다.
P2P업체들로선 가이드라인이 반갑지 않다. 초기 단계에 양적 성장을 이뤄야 안정권에 진입할 수 있는데 당국의 이 같은 규제는 사업 축소로 이어지는 게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으로서도 P2P에 대한 고민이 깊다. 정부 관계자는 "P2P는 금융시장에서 신성장산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속도 조절과 투자자 보호의 균형을 맞추는 게 쉽지 않다"고 전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금융시장 안정에 신경써야 하는 금융위 입장은 알겠지만 금융업계에서 P2P만큼 성장하는 곳이 없는데 마치 적폐 청산 대상쯤으로 여기는 것 같다"며 "금융개혁을 강조하면서도 당국조차 보신주의 문화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에서는 분위기가 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선거자금 마련을 위해 '문재인 펀드'를 모집했다. 여기에 P2P대출업체 팝펀딩을 협력업체로 참여시켰다.
하지만 금융위원장이 P2P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P2P업계 관계자는 "박근혜 정권에서 P2P업계에 도움을 주려고 했는데 금융당국이 부정적인 입장이라서 많이 어려웠다"며 "문재인 정부에서도 P2P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긴 하지만 지난 사례에 비추어 볼 때 금융위원장이 누구냐에 따라 P2P업계의 활성화 여부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