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부터 본격적으로 유행…'수족구병'으로부터 우리 아이 지킬 방법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5-31 07:5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최승현 기자 = 6월부터 본격적인 유행 시기에 돌입하는 '수족구병'로부터 우리 아이를 지킬 방법은 무엇일까?

최근 질병관리본부는 "수족구병 환자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면서 6월부터 본격적 유행 시기에 돌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손발입병이라고도 불리는 수족구병은 피코르나바이러스 계열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발하는 전염병이다. 주로 콕사키 A 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71에 의해 발병한다.

유아나 아동이 흔히 감염되는 전염병인 수족구병은 접촉에 의해 감염이 되며, 침이나 타액, 진액 또는 감염자의 배설물에 의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특히 배변을 한 아기 기저귀에 의해 감염이 되기 쉽고, 초등학교 저학년이나 유치원 이하의 어린 아동이나 유아들이 쉽게 감염된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유행하며, 일반적인 잠복기는 3~7일이다.

성인에게는 극히 예외적인 질병이긴 하지만 가능성은 있다. 대부분의 성인들은 이러한 바이러스를 충분히 퇴치할 수 있는 면역력을 가지지만, 면역 결핍인 사람들에게는 매우 걸릴 확률이 높은 질병이기도 하다.

대개는 가벼운 질환으로 미열이 있거나 열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입 안의 인두는 발적되고 혀와 볼 점막, 후부인두, 구개, 잇몸과 입술에 수포가 나타날 수 있다. 발진은 발보다 손에 더 흔하며 3~7mm 크기의 수포성으로 손바닥과 발바닥보다는 손등과 발등에 더 많다. 엉덩이와 사타구니에도 발진이 나타날 수 있고, 엉덩이에 생긴 발진은 수포를 형성하지 않는다.

수포는 1주일 정도가 지나면 호전되며, 대부분의 환자는 7~10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 있다. 심한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 그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을 자주 씻고 감염된 유아와 물건을 공유하거나 신체접촉을 피해야 한다.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에도 쉽게 감염될 수 있으며,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발병 초기 수일간 집단생활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또 기저귀를 갈고 난 후나 분변으로 오염된 물건을 세척하고 난 후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잘 씻도록 해야 한다. 코와 목의 분비물, 침, 그리고 물집의 진물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직접접촉하게 되면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므로 환자와 접촉한 후에도 손을 잘 씻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