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한국P2P금융협회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이 1조원 돌파를 코앞에 두고 있다. 협회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지난해부터 두자릿수로 증가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규모를 키웠다. 하지만 앞으로는 규모보다 내실을 다지는 게 P2P업체들의 과제가 될 전망이다.
한국P2P금융협회 공시에 따르면 5월말 기준으로 협회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총 9901억5068만원이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111.46% 증가한 수준으로 지난 5개월동안 무려 5210억원 가량 늘었다.
전월 대비로 보면 1월 12.66%(593억원), 2월 18.97%(1000억원), 3월 17.03%(1068억원)로 증가하면서 꾸준히 두자릿수로 누적대출액이 증가했다. 특히 4월에는 전월 대비 18.19%(1336억원)가 늘었다.
아울러 P2P대출 가이드라인의 시행을 앞두고 P2P금융 업체들이 누적대출액을 대거 늘린 영향도 크다. 가이드라인은 개인 투자자는 한 P2P업체에 연간 1000만원, 동일 차입자에 대해서는 500만원까지 투자를 제한하기 때문에 가이드라인 시행 전, 일부 P2P금융업체는 규모를 확대하는 데 집중했다.
누적대출액은 부동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급증했다. 대출별 비중을 보면 부동산 PF대출이 38.84%(3845억원)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 담보 23.12%(2289억원), 신용대출 25.59%(2534억원) 등 순이다. 부동산 PF와 부동산담보를 합치면 비중은 61.96%로 절반 이상이다.
하지만 가이드라인이 시행된 만큼 증가세는 앞으로 주춤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업계는 법인 투자자 유치에 적극 나서거나 복수의 P2P업체가 한 상품에 대해서 공동으로 투자자를 모집하는 상품 등을 출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이드라인 도입으로 시장에서 도태되는 업체들이 대거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무엇보다 먼저 한국P2P금융협회 회원사를 중심으로 한 시장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비회원사 업체 중에는 투자예치금을 업체 자산과 분리해 은행 등 공신력 있는 금융기관에 맡겨야 하는 '고객 예치금 분리 보관 시스템' 도입을 마무리 하지 못한 곳들이 많아서다.
아울러 어느정도 업력이 쌓이면서 연체율 등 건전성이 하락해 투자자들의 신뢰가 하락하는 업체들도 점차 나타나고 있다. P2P협회 회원사 중 한곳인 A사의 연체율은 10%를 웃돈다. P2P투자자들의 커뮤니티에서는 A업체의 상품 중 연체가 발생한 상품이 잇따르자 우려를 표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P2P업체 중 업력이 길다고 하는 곳이 3년 가량이다"면서 "업력이 길어질 수록 연체율이 늘어나는 대출업의 특성상 연체율이 급증하는 것은 시간 문제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