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6/28/20170628151850654201.jpg)
아주경제 장은영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가 약 7개월 앞으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평창올림픽 개최지 현장을 직접 방문한데 이어 평창올림픽 종목 경기 단체장을 총리 공관으로 초대해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올림픽은 문재인 정부에서 치러지는 첫 국제 스포츠 행사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 단일팀을 제안하기도 한 만큼 남북 화합의 장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이 총리는 28일 낮 12시 서울 삼청동 국무총리공관에서 평창올림픽·패럴림픽 종목 경기단체장들과 오찬을 했다. 이 자리에는 빙상경기, 스키, 아이스하키, 봅슬레이·스켈레톤, 컬링, 바이애슬론, 루지 등 7개 올림픽경기 단체장과 장애인 스키, 장애인 노르딕스키, 장애인 컬링, 장애인 아이스하키 등 총 11개 종목 단체장이 함께 했다.
이처럼 이 총리가 평창올림픽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것은 문재인 정부가 이번 올림픽을 남북 관계 전환의 기회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4일 “남북 단일팀을 구성해 최고의 성적을 거뒀던 199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와 세계청소년축구대회의 영광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다시 보고 싶다”며 “평창올림픽에 북한 응원단도 참가해 남북 화해의 전기를 마련하면 좋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북한의 참가가 중요한 만큼 북한이 예선을 통과하지 않고도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중이다.
한편 정부는 ‘경기력향상지원단 TF’를 꾸려 동계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를 지원할 예정이다. 훈련비는 작년 274억원에서 올해 337억원으로 확대 편성됐다. 이 중 49억원은 설상 종목 전용 숙소와 훈련 시설 운영 등 동계스포츠 인프라 구축에 쓰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