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7/19/20170719181428276380.jpg)
▲ 세종시 연서면에 소재한 유일의 아동복지시설인 사회복지법인 영명보육원이 위기가정의 아이들의 입소를 거부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되고 있다. (사진= 김기완 기자)
세종시 연서면에 소재한 지역내 유일의 아동복지시설인 영명보육원에 아이들을 입소시키고 싶었지만, 담당 공무원의 무책임한 행정 서비스와 시설 종사자의 불명확한 근거에 따른 입소 거부로 대전지역 복지시설을 찾은 사례가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앞둔 세종시에서 발생됐기 때문이다.
19일 세종시와 지역 복지계에 따르면 지난해 3월 한부모 가정이 된 A씨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당분간 아이들을 아동복지시설에 맡기기 위해 담당 공무원과 상담을 진행하고, 지역 내 유일의 아동복지시설인 사회복지법인 영명보육원에 입소키를 희망했다.
당시, 세종시 조치원읍에 거주했던 A씨가 가까운 복지시설인 영명보육원에 아이들을 맡기고 안정적 가정을 구축하기 위해 사회생활을 하는 동안 아이들이 보고싶을때 자주 만나기 위해서다.
취재팀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영명보육원의 구성은 총 정원 48명에 현재원 25명의 아이들이 생활하고 있다. A씨가 아이들을 맡겨야 할 시기였던 지난해 3월에는 총 정원 48명에 37명의 아이들이 생활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렇다면 11명의 아이들을 더 받을 수 있었던 상황이었지만, 행정부와 복지시설 관계자들 간 A씨 상황에 대한 고려는 없었다.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앞둔 세종시로써 절박한 상황에 놓인 위기 가정을 지역내에서 케어하지 못했다. 비난 여론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다.
김희숙 영명보육원장은 20년이 넘는 세월을 사회복지 공무원으로 재직했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그런일은 없었고, 모르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취재팀의 취재가 시 행정부로 이어지자 "돌연 그런일이 있었던 것은 맞지만 오전의 인터뷰 당시 기억이 안 났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김남경 아동청소년 담당 행정사무관은 "뒤늦게 알려진 일이지만,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며 "영명보육원의 시설이 낙후되고 쾌적한 환경이 아닌 상황이고 공간확보가 어려웠기 때문에 발생됐던 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사무관은 "영명보육원의 시설 보강을 통해 아이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절박한 처지에 놓인 위기 가정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아동복지시설과 소통을 강화하고 다시는 이 같은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체계를 보완하겠다"고 덧붙였다.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앞둔 세종시와 지역내 소재한 유일의 아동복지시설인 영명보육원. 생활하는 아이들이 줄어들수록 보육교사도 줄어둘 수 밖에 없는 것이 실정법이다. 아동 수에 따라 케어하는 시설 종사자들의 수도 변동되야 하는 괴리가 존재한다. 아동복지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