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8/10/20170810145414352441.jpg)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앞줄 가운데)이 10일 현대제철 인천공장에서 열린 '수요자원시장 참여기업 간담회'에 앞서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수요 감축(급전·給電) 지시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자, 정부가 운영현황 점검에 나섰다.
정부가 수요자원(DR·Demand Response) 거래시장 제도를 전력 예비율을 부풀리는 데 사용했다는 의혹에 대해 해명하고 나선 것이다.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10일 DR 시장에 참여 중인 인천 현대제철 공장을 방문해 "DR 시장이 개설된 지 3년 만에 300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현재 확보한 수요자원 용량(4.3GW)은 원전 3~4기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DR 시장 제도는 지난 2014년 도입, 사전에 계약을 맺은 기업에 대해 필요시 전력사용 감축을 지시하는 대신 이에 따른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산업부는 지난달 DR 시장 제도에 따라 두 차례 관련 기업에 수요 감축 지시를 내린 바 있다. 그러자 경영에 지장을 받은 일부 기업이 DR 시장 계약해지 의사를 밝혔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업부는 이에 대해 "7월 이후에도 참여기업의 계약해지 등 국내 DR 시장에는 특별한 동향이 없다"고 해명자료를 내기도 했다.
이 차관은 "현재까지 DR 시장을 통해 세종시 가구가 소비하는 전기의 2배만큼(714GWh)을 절감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DR 시장 제도 참여 기업 수는 2014년 861개에서 2015년 1519개, 2016년 2223개. 2017년 3195개로 늘었다.
이 차관은 이날 DR 시장 참여기업과 수요관리사업자에게서 건의사항 등을 청취했다.
수요관리사업자들은 최근 DR 시장을 둘러싼 오해에 대해 우려를 드러내며 "이번 논란으로 DR 시장이 위축되지 않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들은 "DR 시장이 전력요금을 낮추고 전력수급 안정에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참여기업들은 "DR 시장 제도가 신(新)비즈니스가 될 것"이라며 "자발적 계약을 통해 시장에 참여한 뒤 생산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수요 감축으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 차관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해 수요관리가 중요하다"며 "DR 시장이 활성화되면 건설해야 하는 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수요관리 제도"라고 강조했다.
이어 "DR 시장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일반 가정도 참여할 수 있는 '국민 DR 시장'으로 확대하겠다"며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