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 전력정책심의위원회는 1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브리핑을 열고 8차 수급계획에 담길 설비계획 초안을 공개했다.
정부는 중장기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15년 단위의 계획을 2년마다 수립하고 있다.
심의위는 2030년 적정 예비율을 20~22% 수준으로 전망했다. 기존 7차 수급계획의 적정 예비율은 22%로, 8차 수급계획에서는 적정 예비율이 최대 2%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심의위는 최소 예비율은 발전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LNG발전은 예방정비와 고장 정지 등으로 1년의 약 12%인 44일 동안 가동이 정지되지만, 원전은 1년의 약 20%인 76일 동안 가동이 정지된다.
원전이 가동 정지될 상황에 대비해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예비율이 LNG보다 많기 때문에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원전을 덜 지으면 예비발전소가 감소하고 필요 예비율도 낮아지는 것이다.
한편, 심의위는 "2030년까지 5~10GW의 발전설비를 새로 지을 필요가 있다"라며 "이는 앞으로 신재생이나 LNG 발전소로 충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초안에 따르면 신재생 에너지는 올해 17.2GW에서 2030년 62.6GW로 증가하게 되며 태양광과 풍력이 이 가운데 48.6GW를 구성한다.
2030년 전력수요는 지난 7월 13일 발표한 101.9GW로 7차 수급계획의 113.2GW보다 11.3GW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