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새 먹거리를 찾아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에 그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제야 수익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만큼 지역 쏠림현상과 리스크관리 등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국내은행의 해외점포는 모두 184개(41개국)로 조사됐다.
국가별로 베트남(19개), 중국(15개), 인도(15개), 미얀마(13개), 홍콩(12개), 일본(8개) 등 아시아 지역이 127개로 전체의 70%에 달해 아시아 쏠림현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과 북미 지역은 각각 22개, 21개에 그쳤다.
초기만 해도 미국, 영국, 홍콩, 싱가폴, 일본 등 주요 선진국 중심으로 이뤄졌으나, 2014년 이후 새로 설립된 해외 점포는 아시아 신흥국이 대부분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해외 점포의 순익 편중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내 금융사 해외점포의 당기순이익이 8000억원에 육박하지만 이 가운데 아시아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달한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인도, 필리핀, 캄보디아 등 진출한 아시아 대부분 지역은 한국보다 경제성장률이 높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경제규모가 작고 대외의존도가 높아 경기변동성이 크다. 경제 안정성 측면에서 취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점포 운영 국가가 많아질수록 통제가 어려워 신용위험도 커지게 된다. 해외로 진출하는 은행이 주로 인수합병(M&A)을 통해 몸집을 키우는 만큼 진출국이 다양해질수록 해외 지점의 임직원을 통제하기는 힘든 것이다.
리스크 관리에 소홀한 점도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해 개선해야할 과제다. 은행은 해외 점포에서 리스크관리에 대한 사항을 보고받아 모니터링을 해야 하는데 해외 진출 경험이 부족해 부서별 역할이나 책임이 불명확한 경우가 많다. 국내와 해외 감독당국의 규제 사항이 다른데 은행 차원에서 모니터링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시아 시장으로의 쏠림현상이 심해지면 급격한 경제·정치적 변화가 있을 경우 국내 은행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철저한 준비와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