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경제 시기 이후 추락했던 일본 경제가 장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8일 일본 내각부는 9월 경기동향지수를 발표했다. 115.8을 기록한 지수는 전달보다는 다소 낮아졌지만, 경기기조는 여전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일본의 경기는 2012년 12월부터 시작된 일본 경기 회복 추세가 지난 9월까지 58개월째 지속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이는 1965년 11월부터 1970년 7월까지 고도성장기인 이자나기 경기(景気) 때보다도 더 길다.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경제재생담당상은 이 같은 결과를 두고 "전후 두 번째였던 이자나기 경기를 넘어선 경기 회복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아베노믹스의 성과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베노믹스를 바라보는 시선에는 여전히 의구심이 깔려 있다. 소비와 투자가 이전의 경제성장기에 비해 여전히 미약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 열리지 않는 소비자들의 지갑··· 기업들의 임금인상 정부 기대 못 미쳐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일본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3%에서 1.5%로 상향 조정했다. 세계 경제의 회복세에 힘입어 일본 경제도 더욱 커나갈 것이라는 예상이다. 실제로 일본 기업들의 실적은 개선세가 뚜렷하다. 2012년 12월 아베 2차 내각 출범 후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의 공격적 양적완화에 따른 엔 약세와 세계 경기 회복이 뒷받침됐다.
일본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 유럽 등의 경기회복은 올해에 이어 2018년에도 계속되면서 일본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의 주요 근거가 됐다. 그러나 장기간의 경기 확대가 이어지고 있지만, 소득증가나 소비활성화를 이뤄내지는 못하고 있다.
일본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 유럽 등의 경기회복은 올해에 이어 2018년에도 계속되면서 일본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의 주요 근거가 됐다. 그러나 장기간의 경기 확대가 이어지고 있지만, 소득증가나 소비활성화를 이뤄내지는 못하고 있다.
이 같은 디플레이션 심리는 BOJ가 통화완화 기조를 유지하는 이유 중 하나다. BOJ는 지난달 31일 금융정책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마이너스 0.1%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10년 만기 국채금리 목표치도 0%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처럼 일본이 금융완화를 지속하는 이유는 소비자물가지수가 좀처럼 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은행은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을 기존 1.1%에서 0.8%로 낮췄다. 2018년 물가상승률 역시 1.5%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소비자들이 소비를 늘리지 않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제품 가격 인상에 미온적일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일본은행은 향후 인건비가 오르면서 물가상승세가 가속화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기업들의 임금상승 속도는 정부의 기대보다 느리게 움직이고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는 지난달 31일 금리동결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임금 상승이 디플레이션 심리 탈출로 연결될 것"이라면서 “아베 신조 총리가 제안한 3% 임금상승률이 실현될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일본 직장인들의 평균 임금 상승률은 올해까지를 기준으로 4년 연속 2%를 넘어섰다. 그러나 임금 상승폭 자체는 최근 더 줄어들고 있어 개인소비를 늘리는 데 제대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일본은행은 향후 인건비가 오르면서 물가상승세가 가속화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기업들의 임금상승 속도는 정부의 기대보다 느리게 움직이고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는 지난달 31일 금리동결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임금 상승이 디플레이션 심리 탈출로 연결될 것"이라면서 “아베 신조 총리가 제안한 3% 임금상승률이 실현될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일본 직장인들의 평균 임금 상승률은 올해까지를 기준으로 4년 연속 2%를 넘어섰다. 그러나 임금 상승폭 자체는 최근 더 줄어들고 있어 개인소비를 늘리는 데 제대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 해외기업 인수나 외채투자 등으로 수익··· 국내로 유입되지 않는 자금
최근 일본의 경기회복에 대해 BNP파리바증권 고노 류타로 이코노미스트는 '금융완화 의존 경기'라고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지표로만 회복이 되고 있을 뿐 실물경기는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임금인상에는 소극적인 대신 국외에서의 투자로 돈을 벌어들이고 있는 것도 일본 경기의 미지근한 회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일본 기업들이 이전에는 수출을 통해 수익을 올렸다면, 최근에는 국외기업 인수나 외채투자 등에서 큰 수익을 거두고 있다. 이렇게 벌어들인 자금은 다시 신흥국 등에 재투자되면서 일본 내로 유입되지 않고 있다.
글로벌 호황기에 힘입어 일본의 경기확대도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있지만, 이 같은 확장국면이 이어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선이 많다.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특수가 있을 수 있지만, 이 역시 2018년에 정점을 찍고 건설경기를 기반으로 호황은 막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2019년 예정된 소비세 인상, 미국이 긴축재정으로 돌아설 경우 성장률 하락 등이 일본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