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현재 각 도도부현(都道府縣) 지사가 지정한 대피시설은 9만1735곳으로, 그나마 대부분 공립 초·중학교 건물이다. 이들 가운데 콘크리트 건물은 56.6%로, 지하 대피가 가능한 시설은 0.7%에 불과하다.
이런 이유로 일본 정치권은 대피시설 보완론을 제기해 왔다.
이에 일본 정부는 수용 가능 인원이 얼마나 되는지 통계를 내는 한편 고교와 대학, 시민회관 등 공공시설을 추가로 대피시설로 지정토록 도도부현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난달 30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국민의 안전과 안심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대피시설을 확보겠다"고 말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