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SK그룹 회장.[사진=SK그룹]
"껍질을 깨는 방식으로 종전 비즈니스 모델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함께 추구하는 새로운 SK의 원년이 되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일 서울 광장동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2018년 신녀회에서 '올드 비즈니스'에 안주하지 말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내자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미래 생존이 불확실한 서든 데스(Sudden Death) 시대에서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딥 체인지(Deep Change)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SK가 지난 20년간 그룹 이익이 200배 성장하는 성과를 올렸지만 여전히 기존의 사업을 개선하는 수준에 안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딥 체인지 핵심은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함께 추구하는 ‘더블 바텀 라인(Double Bottom Line)’ △자산을 공유하거나 변화를 주는 ‘공유인프라’ △해외라는 기존과 다른 시장을 공략하는 ‘글로벌 경영’ 등 구체적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노타이에 캐주얼 옷을 입고 나타난 최 회장은 준비된 신년사를 낭독하지 않고,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SK그룹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론을 TED 방식으로 30여분간 강연했다. 최 회장부터 정형화된 신년회의 틀을 깨면서 변화를 실천한 셈이다.
올해 SK그룹이 실천해야 할 4가지 중점과제로 △DBL을 위한 사회적 가치 본격 창출 △공유인프라에 대한 가시적 성과 △글로벌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확보 △일하는 방식의 혁신 등을 제시했다.
이날 신년회에는 최 회장과 동생인 최재원 KS 수석부회장을 비롯해 사촌지간인 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과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수펙스 7개 위원장, 주력 관계사 CEO 등 경영진과 임원 등 600여명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