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합방 이후 안동 영양 일대에서는 만주 바람이 불었다. 1911년 일피(一避, 제1차 엑소더스)이후, 1912년 이피, 1913년 삼피행렬이 이어졌다. 이때 남자현 시댁과 친정의 친인척이나 지인들이 대거 만주로 이동했다. 그녀가 낯선 만주행을 결심하게 된 데에는 이런 선발(先發) 인맥들이 이미 그곳에서 자리를 잡고 있었던 까닭도 컸다. 김기주가 남자현의 아들을 선뜻 맡아준 것은, 그녀의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의미였을 것이다.
안동 출신으로 만주의 독립운동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으로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 1858-1932)을 들 수 있다.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닌 그와 남자현은 한족회와 서로군정서 활동을 통해 대면(對面)하고 함께 행동했을 가능성이 크다. 1919년을 기준으로 이상룡은 62세였고, 남자현은 47세로 열다섯 살 차이가 났지만 두 사람 모두 나이로 보면 노장에 속했다.
그보다 더 오래전 의병항쟁을 할 무렵부터 석주와 교분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남자현보다 다섯 살 아래인 김동삼은 서간도 독립군 기지 개척의 선구자였다. 또 만주 독립군의 통합에 노력했던 사람이다. 1907년 3월 김동삼은 안동에 설립된 근대식 학교인 ‘협동학교’의 교감이 된다. 여기에서 일하면서 비밀결사 조직인 신민회와 대동청년단에 가입한다. 1910년 한일합병 후 이들 조직은 해외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만주로 온다. 남자현이 만주에 갔을 무렵, 김동삼은 만주 독립운동 진영에서 상당한 위치에 올라 있었다. 이 낯선 곳에 온 그녀에게, 그는 물심양면의 지원을 했을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