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가 2020년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을 최우선 과제로 놓고, 조직역량을 집중한다. 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스마트매장 도입 등을 추진한다.
김병원 농협중앙회 회장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 2주년 브리핑에서 “농업‧농촌의 소중한 가치를 알리고,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과 ‘농업인이 행복한 국민의 농협’을 만들기 위해 환부작신(換腐作新‧낡은 것을 바꿔 새것으로 만듦)의 각오로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농협의 지난해 농가소득 기여액은 농가당 185만원, 총 1조9743억원에 달한다. 올해는 5309억원 늘어난 2조5052억원, 내년 2조9782억원, 2020년 3조6357억원으로 높여 농가소득 목표를 달성하기로 했다.
농업인이 제값받는 농산물 유통체계를 구축, 농가소득 증대를 뒷받침한다. 농업관측시스템 고도화 등으로 관측부터 출하까지 농산물의 안정적인 수급체계를 확립하고, 농식품 R&D 기능을 높여 부가가치를 제고키로 했다.
또 100평 이상 농축협 판매장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을 확대하고, 계란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권역별 계란GP센터를 2020년까지 10개소 건립한다.
정부와 국회 등 관련 유관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농가소득 증대 관련 숙원사항을 해결하고, 100대 과제 중 농가소득 기여도가 높은 핵심과제 10개를 추려 역점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일자리 창출에도 동참한다. ‘범농협 일자리위원회’를 운영해 농업‧농촌‧농협 일자리를 발굴하고, 지역단위 인재 채용으로 수도권-지방 간 균형성장에 기여한다.
후계농 육성‧농촌복지‧4차 산업혁명 등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한다.
농협은 미래 농업 인재인 후계농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청년농 육성 대상자에게 창업보육‧컨설팅‧스마트팜교육 등을 제공한다.
농촌정주를 희망하는 장학생을 선발해 연 500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한다. 인당 최대 30억원 한도 청년농 스마트팜 자금도 지원한다.
올해 돌봄대상자와 돌봄도우미를 두배로 늘리고, 취약농가 영농대행과 가사도우미 지원 서비스도 펼쳐 농업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앞장선다.
미래형 스마트매장 및 인공지능 기반 농사도우미 챗봇을 도입한다. 올해 11월까지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합멤버십 시스템을 도입,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김 회장은 “농업의 공익적 기능 강화를 위한 농업가치의 헌법 반영을 위해 범국민 공감대를 확산하겠다”며 “무허가축사 적법화 지원단 운영을 통한 축산농가 생산기반 안정화와 쌀값 상승세 지속 유지를 위해 농협의 역량을 결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병원 농협중앙회 회장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 2주년 브리핑에서 “농업‧농촌의 소중한 가치를 알리고,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과 ‘농업인이 행복한 국민의 농협’을 만들기 위해 환부작신(換腐作新‧낡은 것을 바꿔 새것으로 만듦)의 각오로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농협의 지난해 농가소득 기여액은 농가당 185만원, 총 1조9743억원에 달한다. 올해는 5309억원 늘어난 2조5052억원, 내년 2조9782억원, 2020년 3조6357억원으로 높여 농가소득 목표를 달성하기로 했다.
또 100평 이상 농축협 판매장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을 확대하고, 계란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권역별 계란GP센터를 2020년까지 10개소 건립한다.
정부와 국회 등 관련 유관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농가소득 증대 관련 숙원사항을 해결하고, 100대 과제 중 농가소득 기여도가 높은 핵심과제 10개를 추려 역점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일자리 창출에도 동참한다. ‘범농협 일자리위원회’를 운영해 농업‧농촌‧농협 일자리를 발굴하고, 지역단위 인재 채용으로 수도권-지방 간 균형성장에 기여한다.
후계농 육성‧농촌복지‧4차 산업혁명 등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한다.
농협은 미래 농업 인재인 후계농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청년농 육성 대상자에게 창업보육‧컨설팅‧스마트팜교육 등을 제공한다.
농촌정주를 희망하는 장학생을 선발해 연 500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한다. 인당 최대 30억원 한도 청년농 스마트팜 자금도 지원한다.
올해 돌봄대상자와 돌봄도우미를 두배로 늘리고, 취약농가 영농대행과 가사도우미 지원 서비스도 펼쳐 농업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앞장선다.
미래형 스마트매장 및 인공지능 기반 농사도우미 챗봇을 도입한다. 올해 11월까지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합멤버십 시스템을 도입,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김 회장은 “농업의 공익적 기능 강화를 위한 농업가치의 헌법 반영을 위해 범국민 공감대를 확산하겠다”며 “무허가축사 적법화 지원단 운영을 통한 축산농가 생산기반 안정화와 쌀값 상승세 지속 유지를 위해 농협의 역량을 결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