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배석규 칼럼니스트]
▶코민테른의 역할 축소
1,930년대가 시작되면서 소련이 사회주의 개혁을 몽골에 강압하는 과정에 두 가지 사실이 눈길을 끈다. 하나는 그 때까지 몽골의 사회주의화를 유도해온 코민테른의 역할이 크게 줄어든 점이다. 중국에서의 공산혁명 실패로 코민테른의 지도방침이 흔들리게 됐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몽골이야 이미 안정적으로 영향권 내로 들어왔다고 소련이 판단했다면 굳이 코민테른이 나설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그래서 몽골에 대한 정치지도 역할이 소련 공산당으로 이전됐다. 말하자면 직할통제체제로 들어갔다는 얘기다.
▶급진개혁의 대리인 초이발산
[사진 = 초이발산]
또 하나 급진적인 몽골의 사회주의 개혁을 이끌어 나갈 대리세력이 등장했다는 점이다. 소련이 선택한 대표적인 인물이 초이발산이었다. 이 인물은 낯설지 않다. 동부 보이르 호수와 할흐골을 가는 길에 묵었던 도시의 이름과 같기 때문이다. 초창기 몽골 인민혁명에 참여했던 그는 몽골 군부와 행정부 안에 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다.
[사진 = 이르쿠츠크 바이칼]
소련이 초이발산을 몽골의 사회주의 개혁을 이끌어나갈 인물로 내세운 것은 그가 누구보다 친(親)소비에트적인 인물이라는 점이 고려됐을 것이다. 그는 시베리아 이르쿠츠크에서 중등교육을 받은 인물이다. 인민정부 수립 후인 1,922년 그는 동부지역 장관에 임명됐다.
[사진 = 초이발산 공항]
그는 지금 초이발산 근처 동부지역에서 태어났다. 소련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동부 지역 끝에 있는 도시에 1,924년 그의 이름이 붙여진 것도 그 것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그는 코민테른과의 접촉을 위해 소련에 가기도 했고 1,924년에는 소련 군사학교에서 군사교육을 받기도 했다.
이후 군 지휘관으로 임명됐던 그는 1,930년대 중반에는 몽골인민정부의회로부터 최고 장관인 동시에 외무부장관으로 임명됐다. 그의 이력을 보면 누구보다 소련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인물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스탈린, 강압적 집단화 추진
소련의 스탈린은 자신의 권력 기반이 굳어지면서 레닌이 내세웠던 新경제정책 NEP(New Economic Policy)를 중단하고 농업의 집단화를 실시했다. 1차 경제개발 5개년에 의한 공업화 정책도 함께 추진했다. ‘자본주의로의 전략적 후퇴’라는 비판을 불러왔던 레닌의 신(新)경제정책을 접고 좌파가 주장하는 사회주의 공세에 나선 것이다.
[사진 = 소련 집단농장 기계화]
하지만 콜호즈(Kolkhoz:колхоз: 집단농장 ), 솝호즈(Sovkhoz:совхоз: 국영집단농장)라 부르는 농업 집단화에 대한 반발이 심했다. 첫 해인 1,929년 가입자가 4%대에 머물자 스탈린은 전대미문의 강압적인 수단을 동원했다. 반대하는 농민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과 추방이 시작된 것이다.
▶집단화에 이어진 대숙청
[사진 = 몽골 대숙청 포스터]
집단농장에 가축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농민들의 한밤중 도살로 가축들의 울음소리가 한밤의 정적을 찌르며 이어졌다고 솔로호프(Solohope)는 그의 작품 ‘고요한 돈 강’에서 당시 상황을 묘사했다. 4년 동안에 말 2천만 마리, 소 3천만 마리, 양과 염소 1억 마리가 도살됐다.
집단화를 반대하다 처형되거나 강제 노역장에서 숨진 농민이 천만 명에 이르렀으니 그들 운명 역시 도살된 가축이나 다름없었다. 농민 뿐 아니라 당내 반발까지 이어지자 스탈린은 이를 계기로 당내에서 피비린내 나는 대숙청 치스뜨까(chistka:чистка)를 단행하게 된다.
청소한다는 치스찌지(chistiti:чиститъ)라는 말에서 따온 의미 그대로 치스뜨까를 통해 스탈린은 반대파를 말끔히 청소해 버린 것이다.
▶몽골 집단화추진에 거센 반발
[사진 = 초원의 유목민]
몽골에서의 집단화 과정도 비슷한 시기에 같은 형식으로 시작됐다. 유목민의 집단화는 그러나 엄청난 반발을 불러왔다. 청나라 시대 맹기제로 이동지역의 폭을 크게 제한 당하면서 궁핍한 지경으로 빠져들어 고초를 겪었던 유목민들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아예 한정된 울타리 속에 가두려는 집단화 시도에 그들이 반발한 것은 어쩌면 당연했다.
집단화를 시도한 집권층은 이동하지 않으면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여기에 또 하나의 노림수로 정치적 통제를 수월하게 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생산성 측면에서 본다면 집단화 또는 정주화를 통한 유목은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는 측면도 있었을 것이다.
[사진 = 유목민 방목]
하지만 유목민을 집단농장 안으로 편입시키려는 시도는 몽골인의 문화적인 전통과 종교적인 정서를 무시한 처사였다.
▶초기 집단화추진 실패
엄격히 말하면 이동성이 차단된 목축은 유목이 아니었다. 특히 당시 몽골 전체 가축의 17% 가량이 티베트 불교 사원의 소유였다. 목축의 집단화와 종교에 대한 탄압을 동시에 추진했던 좌파 정권의 주요 목표물이 된 곳은 당연히 불교 집단이었다. 재산 몰수와 탄압에 직면한 이들은 유목민들과 합세해 생사를 건 저항에 나섰다.
[사진 = 유목민 방목]
라마승이 앞장선 반란 세력은 당시 45개의 협동조합과 33개의 솜의 행정부를 파괴하고 학교와 문화 시설 등을 장악하기도 했다. 이들의 저항이 얼마나 격렬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기록이다. 그래서 1,932년 집단화 시도가 중지되고 정책을 완화함으로써 간신히 국내 동요를 진정시킬 수 있었다. 집단화정책은 일단 실패한 것이다.
[사진 = 간단사 불상]
몽골에서 집단화정책은 이때부터 무려 27년이 지난 1,959년에 가서야 비로소 마무리가 된다. 소련의 집단화 정책을 모방한 몽골의 초기 집단화 정책은 실패했다. 그러나 티베트 불교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은 초이발산에 의해 다시 준비되고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