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금융분야 데이터와 비(非)금융분야 데이터를 모두 활용해 금융 소외자를 줄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31일 서울 강남에 위치한 디캠프센터에서 '금융분야 빅데이터 활용 및 정보보호 종합방안' 관련 강의를 진행하며 이같이 밝혔다.
최 위원장은 "금융권의 정보력에 의해 결국 금융 회사의 배만 불리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금융 접근성이 부족한 소외된 사람들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금융 데이터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앞으로는 금융거래 정보뿐 아니라 온라인 쇼핑 정보와 같은 비금융데이터를 활용해 금융 소외자들에게도 서비스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것"고 덧붙였다.
공정한 금융 데이터 활용에 대한 포부도 밝혔다.
그는 "데이터라는 중요한 자원이 보다 공정하게 활용될수 있도록 정부가 노력할 것"이라며 "일부 대형사들 위주로 고여있는 데이터를 신규 창업자 업체 소상공인들도 원활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접근성과 분석 및 활용의 어려움 해소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 정보 유출에 대한 경각심도 환기시켰다.
그는 "현대 신용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정보 그 자체보다도, 내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정도로 알려지고 활용되는지를 스스로가 결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개인정보의 자기 독점권"이라면서 "그러나 현재 개인정보 보호제도는 성가시고 복잡해 모든 것을 읽고 서명하는 비율이 4%에 불과하다는 결과가 있다"고 부언했다.
최 위원장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요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그는 "앞으로 정부는 이러한 동의내용에 대해 본인이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면서 "이렇게 제도를 개선해나간다면, 개인의 확인 부담이 많이 줄고, 반면 그걸 제공하는 회사의 책임은 높아질 것"이라고 확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