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가 여당의 압승으로 마무리되면서, 향후 정계 개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이어온 데다, 남북·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선거 판세가 민주당으로 크게 쏠렸다. 자유한국당은 민심 변화와 '샤이 보수(숨은 보수)' 효과 등으로 영남권을 사수하고 전국적으로 6~7곳에서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막판까지 한 표를 호소했지만 역부족이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선거 초반 17개 시·도지사 선거에서 영남권 5곳을 모두 이기고 추가로 한두 곳에서 승리하는 '6곳 당선'을 목표로 세웠다. 그러나 목표치 달성이 무산되면서 홍 대표 체제는 흔들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지방선거 출구조사 결과 사실상 '전패' 성적표가 나오자 자유한국당 당사 안에선 "보수 궤멸 책임지고, 홍준표는 사퇴하라"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홍 대표 역시 방송 3사 출구조사 발표 직후 "THE BUCK STOPS HERE!(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라는 문장을 페이스북에 올리며 사퇴를 시사했다. 이후 다시 페이스북에 "출구조사가 사실이라면 우리는 참패한 것이다. 그 참패에 대한 모든 책임은 나에게 있다. 개표가 완료되면 내일 오후 거취를 밝히겠다"고 밝혔다.
정치권 안팎에선 보수 야당이 '전멸' 수준의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홍 대표가 책임을 지고 물러난 후 누가 정계 개편의 주도권을 쥘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선거 기간 동안 김문수 한국당 서울시장 후보와 안철수 바른미래당 서울시장 후보의 '단일화' 논란이 지속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서울시장 '2등 싸움'은 정계개편의 '전초전'으로 불렸다.
결국 안 후보가 김 후보에게 2위를 내주면서 안 후보는 정치적 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안 후보는 선거 초반 각종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에 소폭 앞섰으나 결국 역전을 허용했다.
3위를 기록한 안 후보는 암울해진 차기 대선 전망과 함께할 수밖에 없으며, 향후 전개될 야권 정계개편 과정에서도 주도권을 놓쳤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분석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안 후보가 보수의 구심점이 되려면 이번 선거에서 당선은 안 되더라도 2등은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안 후보는 야권이 인물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이 보수의 구심점이 되겠다는 계산"이라며 "정계개편의 중심에 선 후 다음 대선에서 보수층 유력 후보로 서려고 했겠지만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김 후보나 안 후보 중 누가 구심점에 서더라도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통합 수순은 상당한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를 비롯한 일부 의원들과 호남 중진 의원들은 선거 기간 동안 한국당과의 후보 단일화 및 당 통합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반대해 왔다. 한국당을 대체하는 보수의 '적자'로 바른미래당이 도약하는 게 목표이기 때문이다.
박주선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우리는 한국당이 적폐 세력이고 부패 세력이기에 청산과 배제의 세력으로 본다"며 통합 가능성을 부인했다. 박 대표는 "우리는 진보나 보수의 대안 정당으로 출마한 정당이기에 인위적이고 정치공학적 단일화는 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만약 야권이 정계 개편을 시도한다면, 이에 맞서 여권도 재·보선 승리를 기반으로 여소야대 타파를 위한 몸집 불리기를 시도할 전망이다. 8월 말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당선된 새로운 당 대표의 주도 하에 개편될 예정이다.
민주당은 이번 지방선거 승리를 국회 의석 구도를 재편할 기회로 삼고 있다. 현재 119석인 민주당은 의석을 130석까지 늘리고, 필요하다면 친여(親與) 성향을 보여온 민주평화당·정의당(20석), 바른미래당 내 이탈파(3석)까지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경진 민주평화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민주당과의 '합당'과 관련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는 내부적으로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위해 협치 연정까지는 가능하나 통합은 전혀 생각한 바가 없다"고 일축했다.
오히려 김 위원장은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통합 가능성은 굉장히 높다"면서 바른미래당 내의 박주선·주승용·김동철 의원 등 호남 의원들을 향해 "민주평화당으로 돌아오라"고 '러브콜'을 보냈다.
문 대통령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이어온 데다, 남북·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선거 판세가 민주당으로 크게 쏠렸다. 자유한국당은 민심 변화와 '샤이 보수(숨은 보수)' 효과 등으로 영남권을 사수하고 전국적으로 6~7곳에서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막판까지 한 표를 호소했지만 역부족이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선거 초반 17개 시·도지사 선거에서 영남권 5곳을 모두 이기고 추가로 한두 곳에서 승리하는 '6곳 당선'을 목표로 세웠다. 그러나 목표치 달성이 무산되면서 홍 대표 체제는 흔들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지방선거 출구조사 결과 사실상 '전패' 성적표가 나오자 자유한국당 당사 안에선 "보수 궤멸 책임지고, 홍준표는 사퇴하라"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홍 대표 역시 방송 3사 출구조사 발표 직후 "THE BUCK STOPS HERE!(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라는 문장을 페이스북에 올리며 사퇴를 시사했다. 이후 다시 페이스북에 "출구조사가 사실이라면 우리는 참패한 것이다. 그 참패에 대한 모든 책임은 나에게 있다. 개표가 완료되면 내일 오후 거취를 밝히겠다"고 밝혔다.
정치권 안팎에선 보수 야당이 '전멸' 수준의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홍 대표가 책임을 지고 물러난 후 누가 정계 개편의 주도권을 쥘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선거 기간 동안 김문수 한국당 서울시장 후보와 안철수 바른미래당 서울시장 후보의 '단일화' 논란이 지속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서울시장 '2등 싸움'은 정계개편의 '전초전'으로 불렸다.
결국 안 후보가 김 후보에게 2위를 내주면서 안 후보는 정치적 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안 후보는 선거 초반 각종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에 소폭 앞섰으나 결국 역전을 허용했다.
3위를 기록한 안 후보는 암울해진 차기 대선 전망과 함께할 수밖에 없으며, 향후 전개될 야권 정계개편 과정에서도 주도권을 놓쳤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분석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안 후보가 보수의 구심점이 되려면 이번 선거에서 당선은 안 되더라도 2등은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안 후보는 야권이 인물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이 보수의 구심점이 되겠다는 계산"이라며 "정계개편의 중심에 선 후 다음 대선에서 보수층 유력 후보로 서려고 했겠지만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김 후보나 안 후보 중 누가 구심점에 서더라도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통합 수순은 상당한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를 비롯한 일부 의원들과 호남 중진 의원들은 선거 기간 동안 한국당과의 후보 단일화 및 당 통합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반대해 왔다. 한국당을 대체하는 보수의 '적자'로 바른미래당이 도약하는 게 목표이기 때문이다.
박주선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우리는 한국당이 적폐 세력이고 부패 세력이기에 청산과 배제의 세력으로 본다"며 통합 가능성을 부인했다. 박 대표는 "우리는 진보나 보수의 대안 정당으로 출마한 정당이기에 인위적이고 정치공학적 단일화는 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만약 야권이 정계 개편을 시도한다면, 이에 맞서 여권도 재·보선 승리를 기반으로 여소야대 타파를 위한 몸집 불리기를 시도할 전망이다. 8월 말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당선된 새로운 당 대표의 주도 하에 개편될 예정이다.
민주당은 이번 지방선거 승리를 국회 의석 구도를 재편할 기회로 삼고 있다. 현재 119석인 민주당은 의석을 130석까지 늘리고, 필요하다면 친여(親與) 성향을 보여온 민주평화당·정의당(20석), 바른미래당 내 이탈파(3석)까지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경진 민주평화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민주당과의 '합당'과 관련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는 내부적으로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위해 협치 연정까지는 가능하나 통합은 전혀 생각한 바가 없다"고 일축했다.
오히려 김 위원장은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통합 가능성은 굉장히 높다"면서 바른미래당 내의 박주선·주승용·김동철 의원 등 호남 의원들을 향해 "민주평화당으로 돌아오라"고 '러브콜'을 보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