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6/20/20180620162006554494.jpg)
박종석 LG이노텍 사장이 20일 LG이노텍 R&D(연구개발) 캠퍼스에서 개최한 ‘열전 반도체 테크 포럼’에서 참석자들에게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LG이노텍 제공]
LG이노텍은 20일 서울 강서 LG이노텍 R&D(연구개발) 캠퍼스에서 열전 반도체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열전 반도체 테크 포럼'을 개최했다.
‘열전 기술로 만들어가는 환경친화적이고 편리한 삶(Eco-friendly & Convenient life)’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학계를 비롯해 가전, 자동차, 선박 등 주요 업계 전문가 약 500여명이 참석했다.
열전 반도체는 전기를 공급해 냉각·가열 기능을 구현하고, 온도 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로 컴프레서나 열선 없이 간편하게 냉각·가열이 가능하고, 외부 온도의 변화에도 원하는 온도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폐열(廢熱)을 회수해 전기에너지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열전 반도체 기술은 소형 냉장고, 정수기 등 생활 가전에서 통신, 냉각 설비 등 산업용 장비와 차량, 선박,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박종석 LG이노텍 사장은 “열전 반도체는 우리의 삶을 친환경적이고 편리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혁신 기술”이라며 “활용 범위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각 분야 전문가들과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동 한국전기연구원 열전기술연구센터 책임연구원(한국열전연구회회장)은 “열전 반도체 기술로 산업현장의 미활용 열원(熱源)을 재활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규형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나노 구조의 다결정 열전 소재는 기존단결정 대비 강도와 효율, 성능이 높아 열전 반도체 확산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이날 포럼에서는 주요 업계 전문가들이 각 산업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열전 기술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전시 부스도 마련됐다. LG이노텍의 나노 구조 다결정 소재를 적용한 열전반도체, 응용 제품 등 총 20여종이 전시됐다. 와인셀러, 협탁 냉장고, 가방 등 열전 반도체가 적용된 제품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열전 기술로 만들어가는 환경친화적이고 편리한 삶(Eco-friendly & Convenient life)’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학계를 비롯해 가전, 자동차, 선박 등 주요 업계 전문가 약 500여명이 참석했다.
열전 반도체는 전기를 공급해 냉각·가열 기능을 구현하고, 온도 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로 컴프레서나 열선 없이 간편하게 냉각·가열이 가능하고, 외부 온도의 변화에도 원하는 온도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폐열(廢熱)을 회수해 전기에너지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열전 반도체 기술은 소형 냉장고, 정수기 등 생활 가전에서 통신, 냉각 설비 등 산업용 장비와 차량, 선박,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박수동 한국전기연구원 열전기술연구센터 책임연구원(한국열전연구회회장)은 “열전 반도체 기술로 산업현장의 미활용 열원(熱源)을 재활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규형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나노 구조의 다결정 열전 소재는 기존단결정 대비 강도와 효율, 성능이 높아 열전 반도체 확산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이날 포럼에서는 주요 업계 전문가들이 각 산업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열전 기술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전시 부스도 마련됐다. LG이노텍의 나노 구조 다결정 소재를 적용한 열전반도체, 응용 제품 등 총 20여종이 전시됐다. 와인셀러, 협탁 냉장고, 가방 등 열전 반도체가 적용된 제품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