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잘 걸리는 한국인, 원인은 췌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동 기자
입력 2018-07-27 22: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췌장 크기도 작고 지방함량도 높아

서양인보다 식사량도 적고 비만도도 낮은 한국인이 당뇨병에 잘 걸리는 것은 췌장의 크기가 작고, 크기가 작은 만큼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팀은 27일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해 체격이 유사한 30대 한국인과 서양인 각 43명의 췌장 용적 등을 비교·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췌장의 크기 및 지방함량과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능력, 당대사 능력의 연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한국인은 서양인보다 췌장의 크기가 12.3% 정도 작은 반면 췌장에 침착된 지방의 양은 22.8% 많았다. 결과적으로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은 한국인이 서양인보다 36.5%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양인과 체형이 비슷하더라도 한국인의 췌장 크기가 절대적으로 작고, 인슐린 분비 능력마저 떨어진다는 것이다. 

당뇨병의 원인 중 하나인 췌장 베타세포 기능 저하는 췌장에 손상이 생겨 인슐린 분비가 제대로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베타세포는 췌장에 있는 소도라는 세포 무리에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췌장 전체 크기가 클수록 소도의 개수가 많고 베타세포를 통한 인슐린 분비 능력도 좋다고 가늠할 수 있다. 

또 췌장 내 침착된 지방이 많으면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염증 유발 물질 사이토카인, 혈관 활성화 물질 등이 베타세포를 감소시켜 췌장의 기능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인은 서양인보다 췌장의 크기가 작아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이 저하되고, 이와 함께 췌장 내 지방이 췌장 기능을 더욱 악화시켜 혈당 조절을 어렵게 하므로 당뇨병에 쉽게 노출된다고 연구팀은 결론 내렸다. 

임수 교수는 "20세 이상의 한국인 10%(400만 명 추산)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상황에 비춰볼 때, 서양인에 비하면 식사량이 적고 비만도가 낮음에도 국내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는 원인에 대한 새로운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당뇨병, 비만 그리고 대사'(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