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리베이트 관련 이슈로 주목받은 광동제약이 경영 부실 지적에서도 자유롭지 못한 모습이다. 제약사 타이틀을 벗어난 지 오래라는 오명 속에서 매출마저 미미한 수준을 보이자 최성원 부회장에 대한 경영평가 논란도 이어질 전망이다.
2016년 광동제약은 1조원을 초과하는 매출을 달성했다. 지난해 역시 1조1416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제약회사 중 유한양행과 GC녹십자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매출은 2015년 9555억원에 이어 2016년 1조564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영업이익은 줄곧 하락하고 있다. 2015년 509억원이던 영업이익은 2016년 444억원, 2017년 357억원으로 추락했다.
영업이익률도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 5%대에서 지난해는 3.1%로 떨어졌다. 제약업계 평균 영업이익률이 10%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 지난달 골든브릿지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광동제약의 올해 상반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33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다. 주력품목인 비타500·옥수수수염차·헛개차 등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 정체를 나타냈고, 삼다수 매출도 5.9% 감소했다.
이 같은 실적 부진은 여전히 겉모습만 제약사라는 타이틀을 가진 광동제약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다수 제약사가 연구·개발(R&D)이나 파이프라인 확대 등에 주력하는 반면, 광동제약은 여전히 음료와 생수에 중심을 둔 경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동제약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비타500과 옥수수수염차, 삼다수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상이다.
금융감독원은 2007년 광동제약에 사업 목표를 분명히 하라며 사명 변경을 권고하기도 했다. 의약품 비중이 낮은 사업 구조‧목표를 개선하거나 제약이라는 사명을 삭제하라는 지적을 받은 것이다.
그러나 10년이 더 지난 지금 광동제약은 비슷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2012년 보건복지부는 광동제약을 제1차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선정했으나, 2015년 재평가에서는 탈락시켰다. 당시 업계에서는 의약품 중심 기업이라고 보기에는 취약한 수익구조와 부족한 R&D 투자비율 등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광동제약은 불과 매출액의 1% 수준을 R&D 비용에 투자하고 있다. 10% 이상씩 투자하는 기타 제약사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한미약품의 경우 올해 2분기에만 R&D에 485억원을 투자했다. 매출액 대비 20.1% 수준이다. GC녹십자도 전년 동기 대비 R&D에만 18.9% 증가한 비용을 투자했다. 광동제약과 매출액에서 크게 차이 나는 일동제약과 삼진제약 역시 올해 상반기 R&D 투자율만 각각 9% 이상에 달한다.
광동제약은 최근 리베이트 의혹뿐 아니라 과거 비타500 매출 조작, 전문의약품 불법 마케팅 관련 과징금 행정처분 사건 등으로 이미지 타격을 입었다. 최 부회장은 최고의 품질로 의약품을 만들고자 했던 아버지 고(故) 최수부 회장의 원칙에 따라 경영을 이끌어갈 필요가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