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을 이끌어오던 제조업에 비상등이 켜졌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구조조정이 한창인 △조선 △해운 △자동차 등 제조업을 중심으로, 생산능력이 약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지난 3월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에 정부는 허약해진 제조업 체질 개선을 위해 이르면 연내 산업구조 개편안을 내놓는다는 방침이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7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2.6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1.3%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7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생산능력지수는 인력·설비·조업시간 등이 정상적으로 생산에 투입되는 상황에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가능량을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생산능력지수는 2015년 연간을 100%로 놓고 비교한 것으로, 7월 지수는 3년 전인 2015년에 비해 2.6% 증가에 그쳤다는 뜻이다.
지난 3월 지수는 102.9로 1년 전보다 0.6% 감소했다. 기존 기록인 지난해 12월 -0.5%를 깼다. 감소 폭은 매달 커지고 있다. △4월 -1.0%, △5월 -1.0% △6월 -1.1% △7월 -1.3%였다.
산업별로 보면 조선·해운이 속한 기타 운송장비와 자동차가 속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한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지수는 올해 1월 꾸준히 감소, 7월에는 72.0을 기록했다. 선박 및 보트 건조업의 7월 지수는 68.3이었다. 2015년 1월 104.3에서 꾸준히 하락해 60대까지 떨어졌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은 지난해 11월 105.9까지 찍었지만, 12월부터 계속 감소해 지난 7월은 101.5까지 떨어졌다.
현대·기아차를 제외하고 살아나지 못하는 자동차를 비롯, 삼성중공업·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3사가 동시 부진에 빠져 체질개선 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으로 여겨지는 제조업의 체질개선에 소매를 걷어붙였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정책국을 중심으로 중장기 산업구조 개편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정부는 이번 산업구조 개편을 통해 우리의 주력산업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스마트시티 △빅데이터 등을 연계하고, 필요에 따라 연구용역 등을 거쳐 연내 개편안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제조업 경쟁력과 고용 창출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라며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미래 제조업을 위해 어떻게 산업구조를 바꿔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정부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개편을 이룰지는 미지수다. 지원 대상과 정도에 따라 시장 자율성을 해칠지 모른다는 부정적인 견해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