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으로부터 공적 자금을 수혈받은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상선의 경영실적 성적표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지난 15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매출규모가 달라진 만큼 인력계획을 유연하게 가져가야 한다"며 "산은에 인력구조조정 계획을 바꿀 것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올 들어 3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지속하는 등 우수한 경영성과를 근거로 사실상 '인력 구조조정 종결'을 선언한 셈이다.
반면 현대상선은 상황이 개선되기는커녕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올해 3분기에만 1231억원의 손실을 기록, 전년동기대비 적자폭이 4배 이상 확대됐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유창근 현대상선 사장은 3분기 실적발표 다음날인 지난 15일 부산 한국해양진흥공사에서 황호선 공사 사장 등과 장시간 회의를 가졌다. 공사 측은 “당시 회의에선 현대상선 실적 등과 관련 현안 보고 등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관련 업계에선 현대상선의 추가 구조조정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고위임원은 "실적발표 다음날, 그것도 공사 정책지원본부 주관으로 회의가 이뤄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 사장에 대한 질책과 회사 구조조정에 대한 요구가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공사 정책지원본부는 최근 선사에 대한 지원과 구조조정 등을 위해 신설된 조직이다.
반면 같은 날 정 사장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간의 경영성과가 좋았던 만큼 당초 계획보다 인력 감축 규모를 줄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우조선은 우리나라 조선 '빅3' 가운데 유일하게 올 들어 3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견조한 수익구조를 갖춘 기업으로 '환골탈태'한 것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대우조선은 이제 산업은행에 '인력 구조조정 규모를 축소해달라'고 당당하게 요구할 정도"라며 "경영정상화가 본궤도에 올랐다는 자신감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현대상선은 3분기 실적 악화의 요인으로 고유가와 운임 하락 등을 꼽았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선 CEO의 경영능력이 두 회사의 희비를 갈랐다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 2016년 9월 유 사장이 부임한 이후 현대상선에서 발생한 영업손실 누계는 무려 1조원에 이른다. 2016년 4분기에 1861억원을 시작으로 지난해 4068억원, 올해 3분기까지 493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수익구조가 2년 전보다 더 악화됐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견해다.
이로 인해 올해 3분기말 기준 현대상선의 부채비율은 916%까지 치솟았다. 남은 현금성 자산은 1735억원에 불과하다. 앞서 산은은 지난달에도 현대상선의 영구채를 인수해 1조원을 긴급 수혈한 바 있다. 현재와 같은 흐름이 지속되면 현대상선은 연내 유동성이 고갈돼 또다시 산은에 지원을 요청해야 할 형국이다.
이동걸 산은 회장도 이 같은 상황을 꼬집었다. 그는 지난 8일 “최근 현대상선에 대한 감사결과를 보니 ‘혁신 마인드’보다는 정부에 의지하려는 경향이 크다”며 “현대상선에서 안일한 임직원은 즉시 퇴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사장, '흑자전환' 공언에도 되레 적자만 커져
유 사장은 올해 3월 재신임을 받아 오는 2021년 3월까지 2년이 넘게 임기가 남아있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선 현대상선이 그간의 실책을 바로잡고 대대적인 구조조정 등 정상화의 길을 걷기 위해선 '극약 처방'을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유 사장은 임기종료를 앞둔 지난해 11월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3분기 흑자전환하겠다고 공언했지만 결국 전년보다도 못한 성적표를 받았다”며 “사실상 ‘공약’을 지키지 못한 만큼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유 사장은 취임 이후 2017년 3분기까지 매 분기별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경영상황에 대한 브리핑을 실시했지만 올해 3월 연임이 확정된 뒤에는 단 한차례도 간담회를 실시하지 않았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혈세를 지원받고도 회사 경영상황을 오히려 악화시켰다는 게 여실히 드러난 상황"이라며 "시장과 국민에게 아무런 입장도 표명하지 않는 것은 CEO로서 책임 있는 자세라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