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2기 서울시 보훈종합계획'(2018~2021년)을 29일 발표했다. 민선 7기 4년간 총 2083억원의 예산을 투입, 4개 분야에서 16개 과제를 추진한다.
고려대한국사연구소가 발표한 '독립유공자 후손 생활실태(2017년)' 조사를 보면, 서울 거주 독립유공자 10명 중 7곳은 보유재산이 2억원 미만이다. 도시노동자 재산 평균(2억6000만원)에 못 미친다. 또 참전유공자의 만성질환 증가로 커지는 의료비 지출은 고스란히 유공자와 가족 부담이었다.
시는 지난 1기 계획에서 참전명예수당 1개에 불과하던 시 보훈수당을 4개로 늘렸다. 70세 이상 국가유공자의 시 공영주차장 주차료 감면도 조례 개정을 통해 실천한다. 2020년부터 최고 감면율인 80% 수준을 적용한다는 구상이다.
시립 상이군경복지관과 병원진료 때문에 원거리를 오가는 유공자 대상의 게스트하우스인 '보훈의 집'은 1개씩을 더 마련한다. 서울 소재 보훈단체(총 11개)의 사업비와 운영비도 각각 77%(~2020년), 100%(~2021년) 확대한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살아있는 역사인 애국지사 주 마지막 사망자 장례를 서울시장 주관으로 추진한다. 저소득 국가유공자 사망 시 희망자에 한해 서울시 공영장례서비스 '그리다'를 통해 장례를 돕는다.
2006년 개관해 건물 노후화가 진행 중인 '서울시 보훈회관'은 리모델링으로 기능 보강 및 휴게공간, 상담실 등 이용자 편의시설을 확충한다. 2021년 재개관을 목표로 7억원을 투입한다.
박원순 시장은 "2019년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란 의미 있는 해"라며 "서울시 위상에 걸맞는 유공자 존중과 예우가 실현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