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을 줄이고 일자리를 늘리는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다.
노동자는 일반 완성차 업체 근로자 연봉의 절반 수준을 받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주거, 의료, 교육 등 복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단순한 일자리 창출을 넘어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한 노사 파트너십 구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광주형 일자리는 독일 폭스바센의 '아우토(AUTO)5000'을 참고한 것이다.
폭스바겐은 2001년 경제 침체로 생산량이 급감하는 등 위기를 맞았다. 이에 노조의 동의를 얻어 별도의 독립법인과 공장을 세웠다.
5000명의 실업자를 기존 생산직의 80% 수준인 월급 5000마르크(약 300만원)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
독립회사로 설립된 'AUTO5000'은 이후 경영 상황이 나아지면서 2009년 1월 폭스바겐 그룹에 다시 통합됐다.
광주형 일자리는 근로자 임금을 국내 완성차 업체 5곳 연평균 임금(9213만원)의 절반 수준에 맞춘다.
광주시는 이번 협상에서 적정 초임 평균 임금을 절반보다 더 낮은 3500만원 안팎으로 설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연봉은 낮지만, 정부와 광주시가 주거·육아·여가생활 등 생활기반과 복지를 제공한다.
계획대로면 대기업 반값 연봉 수준으로 직접 고용 일자리 1000여개가 만들어지고, 간접고용까지 포함하면 1만2000여개 일자리를 창출하게 된다.
광주형 일자리는 문재인 정부가 국정 과제로 채택하면서 전국적인 관심의 중심에 섰다.
청년 실업이 사회문제로 떠오른 상황에서 반값 연봉과 복지를 결합한 고용시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