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06/20190106125844781600.jpg)
[사진 = 아이클릭아트]
'조건 없이 개성공단을 재개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신년사에 개성공단에서 철수한 기업인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오는 9일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무산된 시설 점검 차원의 방북을 허용해달라고 요구할 예정이다.
김서진 개성공단기업협회 상무는 6일 협회의 요구 내용에 대해 "시설점검을 위한 방북 허용을 촉구하고 개성공단 재개를 희망하는 내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지난 2016년 2월 공단의 가동 전면 중단 후 지금까지 6차례 방북을 신청했지만 모두 유보됐다.
가깝게는 작년 10월, 입주 기업인 150여명이 개성에 두고 나온 시설 등을 점검하려고 정부에 방북을 신청했지만 남북 당국의 조율에도 불구하고 성사되지 못했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방북 신청이 유보된 상태이므로, 사실 굳이 방북을 다시 신청할 필요는 없다"며 "중요한 건 정부의 방침이다. 사전에 정부의 방북 허가가 나길 바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지난 3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 이어 다음 주 한미 비핵화·남북관계 워킹그룹 논의 결과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개성공단 자체가 국제사회 제재의 예외에서 시작한 것이고, 한반도 평화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는데 지금은 제재의 상징인 것처럼 비치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설명하고 미국을 설득해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김서진 상무는 "자산점검을 위한 방북은 대북제재와는 관련이 없다"며 "일단 북에 남은 시설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해야 추후 공단이 다시 가동될 때의 계획이라도 세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남북 정상이 지난해 9월 평양 공동선언에서) 합의한 바대로 현시점에서는 우선 조건을 마련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며 "국제사회와의 협력 등을 통해 진전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