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미세먼지 나쁨에 '공기청정기' 구매 필수 정보 세가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선국 기자
입력 2019-01-24 21:3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쓱싹 가전전문MD가 알려주는 공기청정기 고르는법

[사진=아이클릭아트]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인 날이 많아진 만큼 공기청청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쿠팡과 위메프, 티몬 등 이커머스를 비롯해 이마트, 하이마트, 쓱싹 스토어 등 가전제품 전문 쇼핑몰의 공기청정기 프로모션이 이어지는 가운데, 연일 쏟아지는 추천 제품 중 어떤 제품을 골라야 할까. 

24일 ‘정직한 설치가전 전문 쇼핑몰’을 표방하는 쓱싹 스토어의 제품전문 상품기획자(MD)에 따르면 공기청정기 구매에 필요한 대표적인 필수정보는 총 세 가지다.

[사진=쓱싹스토어]


◆우리집 크기엔 몇 평형 제품이 알맞을까?···적정 공기청정기 평형은 집 평수의 절반 정도 

공기청정기를 고르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제품 평형이다. 같은 제품이라도 적정 수준보다 높은 평형을 사면 가격이 크게 오르기 때문이다. 반대로 적정보다 낮은 평형의 제품을 산다면 공기정화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정화효율, 가격대, 전기사용료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가장 알맞은 제품 평형은 ‘집 평수의 절반’이다. 예컨대 24평 가정집이라면 12평형 제품을 구매하는 게 좋다. 이 제품 평형은 제곱미터(m2) 단위로 표시된다. 여기서 제곱미터를 3.3으로 나누면 평형으로 변환된다. 제품설명에39.6 m2 평형이라고 쓰여있다면 12평형(39.6 m2 ÷ 3.3) 제품이며, 24평 집에 알맞다고 볼 수 있다.

◆큰 제품 1대와 작은 제품 2대, 어떤 선택이 더 합리적일까
집이 넓고 방이 여러 개라면 작은 제품을 여러 대 사는 게 더 효율적이다. ‘합계 평형’만 더해봐도 알 수 있다. 120만원짜리 제품 1대의 평형과 30만원짜리 제품 2대의 합계 평형이 똑같다면 작은 제품 2대를 살 때 60만 원이나 싸게 사는 셈이 된다. 또 공기청정기나 에어컨, 보일러 같은 제품은 방마다 개별 관리할 때 전기요금이 절약된다. 보일러의 각방제어기, 에어컨의 멀티형 제품과 같은 원리다.

◆어떤 기준으로 제품을 선택해야 할까.
​제품 선택엔 여러 옵션이 있지만, 우선 ‘CA마크’의 획득 여부와 ‘13등급 이상의 헤파필터’ 유무부터 확인하는 것이 좋다. CA마크는 한국공기청정기협회에서 발급하는 인증마크로 공기정화능력·풍량·소음발생여부·유해물질제거율 등의 종합테스트를 통과한 제품만 받을 수 있다. CA마크가 있는 제품이라면 성능은 검증됐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13등급 이상의 헤파필터’ 여부가 중요하다. 헤파필터는 0.3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를 말한다. 먼지필터는 유럽 인증기준에 따라 0~14등급까지 있는데 이 중 13~14등급의 필터를 헤파필터로 칭한다. 헤파필터는 0.3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먼지를 99.75% 이상 잡아내며,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초미세먼지까지 걸러낸다.

신현식 쓱싹 가전전문MD는 “초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기에 이 두 요소를 우선 확인해 공기청정능력을 검증한후 디자인 등의 여타 요소를 고려하는 편이 좋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