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승훈의 기사 맛보기] 말귀 알아듣는 '스마트홈' 댁내 두루 평안하십니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승훈 기자
입력 2019-01-31 08: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건설부동산부 강승훈 기자

[건설부동산부 강승훈 기자]

"외출할테니 실내에 불 꺼", "불필요한 가스는 잠가줘", "미세먼지 들어오니 창문 닫아"

아파트가 갈수록 똑똑해지고 있다. 그야말로 사람의 말귀를 척척 알아듣는다. 스마트홈(smart home) 얘기다.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기능들이 적용된다. 업계에서는 향후 새 주택의 기본사양이 될 것이라고 본다.

그러면서 통신 등 관련 전문업체들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부동산 디벨로퍼 및 아파트 시공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자사의 스마트홈 서비스를 향후 입주민들에게 제공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그 범위는 1인 가구를 겨냥해 오피스텔로도 확산 중이다.

스마트홈의 핵심은 'ICBMA'로 요약된다. 한 대륙에서 다른 대륙까지 공격이 가능한 초장거리의 탄도미사일(ICBM·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을 일컫는 게 아니다. 이는 I(internet of things)·C(cloud)·B(big data)·M(mobile)·A(artificial intelligence ) 5가지 기술이 결합된 것이다.

인터넷만 연결되면 언제든 컴퓨팅이 이뤄지는 환경, 현실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모두 데이터화해 저장하는 기술, 모든 서비스가 기존 PC(개인용 컴퓨터) 기반에서 스마트폰으로 이동, 여기에 인공지능이 더해져 주거공간에서 삶의 만족도를 더욱 높이는 게 골자다.

그렇다면 과연 문제점은 없을까. 당연히 적지 않다. 먼저 일상에 필요한 기능들이 공급자별 앱으로 구현, 사용편의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예컨대 건설사(단지), 가전사, 주차·출입 앱 등이 개별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해당 업체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이나 사후 AS관리가 제각각이다.

심지어 장애가 발생했을 때에 그 원인을 서로 떠넘기는 '민원 핑퐁' 및 회사의 경영사정이 품질저하로 이어질 수 있단 지적도 나온다. '가정용 월패드'도 입주 1~2년이 지나면 현관 호출이나 엘리베이터 콜 이외 부가기능이 외면되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설계 및 운영체계 부족으로 관련 구축비용이 매몰된다고 지적한다. 일단 지출하고 나면 회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최근의 분양 트렌드인 커뮤니티 등 단지 생활에 꼭 필요하면서 유용한 내용들로만 압축시킨 구현이 요구된다고 제안한다. 그래야 이용자 입장에서도 불만은 낮추고, 활용율이 높아지게 된다.

집안으로 들어온 스마트홈은 이미 붙박이장, 발코니 확장처럼 기본사양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동전의 양면과도 같아 뗄래야 뗄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다. 업계에서는 2020년까지 총 30만 가구가 스마트홈 인증주택에 입주할 것으로 본다. 4차 산업시대로 불리는 요즘, 각 가정에 이렇게 묻고 싶다. "댁내 두루 평안하십니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