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해 국정연설에서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교착 상태에 머물러 있던 한반도 비핵화 관련 협상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빅딜'을 이뤄낼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국회의사당 하원 회의실에서 새해 국정연설을 통해 "아직 할 일이 많아 남아 있긴 하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관계는 좋다"며 "오는 27일과 28일 베트남에서 김 위원장을 다시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베트남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은 다수 나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구체적인 개최 도시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들은 2차 정상회담이 베트남 다낭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대담하고 새로운 외교 정책의 일환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향한 역사적인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간 핵실험은 중단됐고 15개월 동안 미사일 발사는 없었다"며 "만약 내가 대통령이 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 북한과 큰 전쟁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북한을 겨냥해 최고 수준의 '압박'을 지속할 것이라는 방침을 거듭 강조했던 작년 국정연설과는 상반된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작년 새해 국정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 북한을 '적'이자 '잔인한 독재 정권'으로 규정한 뒤 "북한의 무모한 핵무기 추구가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북 군사옵션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최대 압박작전을 강조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작년 싱가포르 회담에 이어 260일 만에 개최되는 2차 정상회담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논의의 분수령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작년 회담에서는 '완전한 비핵화'에는 양국 정상이 뜻을 모았지만 핵심 쟁점이었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 항목을 명문화하지는 못했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김혁철 전 스페인 주재 북한대사가 6일 평양에서 실무협상을 진행한 만큼, 작년 북·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완전한 비핵화 △북·미 관계 전환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 구축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을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폐기와 플러스 알파(+α)와 이에 대한 미국의 상응조치를 어떻게 조율하느냐가 최대 관건이라고 BBC 등 외신은 보고 있다. 종전 선언, 평화협정 체결 논의, 대북 투자, 대북제재 완화 등이 상응 조치로 거론되고 있지만 세부 조율 과정에서 힘겨루기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이날 국정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정책과 관련해서 "중국과 새로운 무역협상을 추진하고 있다"며 "새로운 협정은 불공정한 무역관행을 끝내고 무역적자를 줄이며 미국인들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구조적인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