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 담판을 계기로 종전선언을 추진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베트남 다낭에서 만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7일 일각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베트남으로 향해 남·북·미·중 정상이 한자리에 모여 종전을 선언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한반도 문제의 당사국인 4개국의 정상이 모여 종전선언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동안 남북은 비핵화에 상응하는 조치로, 종전선언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해왔다. 중국도 정전협정 당사국으로서 평화협정에 참여하면 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지만 한반도 정세가 급변하자 지난해부터 종전선언에 참여하는 데 관심을 보여왔다.
종전선언에 가장 신중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미국도 다소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한 강연장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 전쟁을 끝낼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에 종전선언이 북한 비핵화의 상응 조치로 논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4개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여 종전을 선언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비핵화는 물론, 미국과 북한이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상황에서 한·중 정상까지 합류해 종전선언 문제를 마무리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하지만 북미가 비핵화 상응조치의 일환으로 적대관계 청산을 본격화하고자 한다면 남·북·미·중 정상이 모여 종전을 선언한다는 내용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합의에 담길 확률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