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차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지난 23일 전용열차로 베트남 하노이로 떠났다. 평양에서 하노이까지 거리는 약 4500㎞. 비행기로는 3시간 반이면 충분하지만 열차로는 이틀 반, 약 60시간이나 가야하는 대장정이다. 김 위원장이 세기의 핵 담판을 앞두고 이처럼 험난한 노정을 택한 이유가 뭘까.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게 안전과 편의성이다. 열차는 비행기보다 안전할 뿐 아니라 집무실과 다름 없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김 위원장뿐 아니라 김정일, 김일성 등 북한 지도자들의 장거리 이동수단도 대개 열차였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24일 김 위원장이 하노이행에 열차를 택한 배경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압박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우리가 이미 하노이로 출발했으니 되돌릴 수 없다'는 게 김 위원장이 전용열차에 오르면서 트럼프에게 보낸 메시지라는 설명이다.
하노이에서는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특별대표와 미국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지난 21일부터 정상회담 의제 조율을 위한 실무협상을 벌이고 있다. 북측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둘러싼 이견이 여전한 것으로 알려져 정상회담 직전까지 결과를 장담하기 어려워 보인다.
산케이는 김 위원장이 이미 하노이로 떠났다면 김혁철이 실무협상 경과를 보고하고 지시를 받기 어려워진다며, 이는 트럼프 자신의 결단에 기대를 걸어온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정상들의 판단이 필요한 의제는 회담에서 직접 정하자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 풀이했다.
산케이는 김 위원장의 하노이행 열차에는 북한 주민들에 대한 메시지도 담겼다고 봤다. 먼저 자신의 할아버지 김일성이 간 길을 상기시켜 이번 회담에 더 무게감을 갖게 하려는 의도가 돋보인다는 것이다. 김일성은 1958년 열차로 중국 남부 광저우까지 간 뒤 비행기 편으로 하노이에 도착했다.
23일 오후 평양을 출발한 김 위원장은 오는 26일 중국과 인접한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해 하노이까지 승용차로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 위원장은 카리스마가 강했던 김일성의 용모와 복장, 행동 등을 따라하며 권위를 높여왔다.
하노이로 가는 김 위원장의 행보에서는 경제발전에 주력하겠다는 메시지도 읽을 수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4월 핵·경제 병진노선을 폐기하고 경제건설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선언했다. 중국의 경제 발전을 상징하는 광저우를 경유하는 전용열차는 북한 주민들에게 '우리도 이렇게 발전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일대일로 구상,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신경제지도 구상과 무관하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산케이는 김 위원장이 경제 발전을 이룬 중국 남부 도시를 차창으로 바라보고 싶다는 개인적인 소망을 이루는 것은 물론 간부 수행원들에게 경제 건설의 필요성을 이해시키는 효과를 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남·북 정상회담 때 한국 고속철도에 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남북간에 경의선·동해선 철도 도로 연결 및 현대화 논의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이 사업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전용열차로 평양에서 중국을 거쳐 하노이로 횡단한다면 동북아에서 동남아까지 철도 여행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유라시아 구상을 담은 한반도신경제지도가 실현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남측에 발신한 효과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