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25일 독립유공자 후손을 청와대로 초청했다. 김 여사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에게 미래를 이끌어달라고 당부했다.
김 여사는 이날 오후 청와대 본관 세종실에서 독립유공자 후손들과 간담회를 하고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의 의미를 되새겼다.
이 자리에는 나석주 의사의 후손 박강덕 군(경북 구미 거주·상모고등학교 1학년)과 '부부 독립군' 신송식(건국훈장 독립장)·오희영(건국훈장 애족장) 지사의 손녀 신세현(동명대학교) 씨 등 65명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선 김현종 국방개혁비서관과 신지연 2부속비서관,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 등이 함께했다.
김 여사는 인사말에서 "한줄기 빛도 보이지 않는 암흑기에 결연하게 일어서고 거침없이 나아간 사람들의 이름을 떠올린다"며 "이름조차 남기지 못한 채 삼천리 방방곡곡에서 꽃잎처럼 떨어져 간 수많은 희생을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후의 일인까지 최후의 일각까지 희망을 놓지 않았던 선조들이 있었기에 오늘 우리가 이곳에 있다"고 말했다.
김 여사는 "오로지 조국의 독립을 열망하며 여러분의 할머니, 할아버지가 올곧게 나아갔던 발자취를 이어 여러분들이 빛나는 미래를 이끌 차례"라며 "지난 100년 밑거름 삼아 나아가는 새로운 100년의 시작 앞에서 한반도의 평화라는 새 역사를 꿈꿔본다"고 전했다.
신세현 씨는 "광복군으로 복무하며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인 할아버지, 광복군 창설 후 여군으로 입대해 독립을 위해 싸운 할머니의 길을 좇아 군인으로 살아가기로 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교육자로 3·1운동에 참여한 한항길 지사의 후손인 초등학교 교사 최유정 씨는 "문 대통령이 국정과제로 언급한 '국가를 위한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가 진심이었음을 확인하고 있다"며 "어린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관을 가르칠 수 있게 됐다"고 화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