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베트남 경제모델' 띄우기에 나섰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제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계기로 북한이 베트남의 경제 개방 및 성장 롤 모델을 따를 가능성이 한층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베트남 하노이는 애초 북한이 원하던 제2차 북·미 정상회담 장소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 입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핵담판 준비에 돌입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7일 '경제 발전에 힘을 넣고 있는 베트남'이라는 기사에서 "베트남 당과 정부는 당의 영도적 역할을 높이고 사회주의 정권을 튼튼히 다지는 것과 함께 경제 발전을 위해 분투하고 있다"며 "베트남의 경제 발전 잠재력은 크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베트남은 농업에 치우쳐있는 경제의 편파성을 극복하고 다방면적인 공업구조를 완비하기 위한 사업이 힘 있게 추진되고 있다"며 "재생산업 발전에 힘을 넣어 산림 벌채와 공해를 줄이고 있다"고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조선과 베트남 사이의 전통적인 친선 협조 관계는 김일성 동지와 호지명(호찌민) 동지 사이의 참다운 국제주의적 의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며 말했다.
북한 매체가 '하노이 선언'을 앞두고 '베트남식 개혁·개방'에 대한 기대감을 키움에 따라 김 위원장의 개혁·개방 정책에 전 세계 시선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북한과 베트남은 아시아 지역의 사회주의 국가라는 점 등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연 7%대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베트남은 1986년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앞세운 '도이머이(쇄신)' 정책을 추진했다. 미국과의 적대적 관계도 청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