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연맹, 소비자시민모임, 민생경제연구소,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14일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 앞에서 통신요금인상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한국소비자연맹, 소비자시민모임, 민생경제연구소,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등 소비자단체들이 14일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 앞에서 고가중심의 5G요금제를 규탄하며 가계통신비 인하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사진=이소라 기자]
이어 "지난 2월에도 국회 토론회를 통해 저가요금제 이용자와 고가요금제 이용자를 과도하게 차별하는 LTE요금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한 바 있다"며 "그러나 SK텔레레콤은 지적에도 불구하고 7만원 이상의 5G 고가요금제만을 출시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5일 SK텔레콤의 5G요금제 인가신청을 반려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이 제출한 5G요금제가 고가중심으로 구성된 게 원인으로 분석된다.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에 중저가 구간 설정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단체들은 "과기부가 다음번엔 '5G 세계 최초 상용화' 압박에 밀려 SK텔레콤의 인가안을 그대로 통과시킬 가능성이 높다"며 "법이 정한 인가권한을 적극 행사해 이통재벌의 폭리를 막고 가계통신비 부담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