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초등학교의 개교연대는 강화의 역사서인 『속수증보 강도지』(1932년)에 1899년 을종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강화초등학교 학교력에는 1898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속수증보 강도지』는 학교가 개교한 후 30여년의 세월이 지나 발행되었고, 1899년 당시 사용되지 않던 보통학교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사료로서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강화초등학교 학교력은 1981년 학교의 화재로 소실된 후 1982년에 다시 작성되어 이 역시 개교당시의 사실관계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국 근현대 교육과 관련된 서적, 논문 등을 탐색하다가 학교 설립과 관련된 당시의 관보를 찾을 수 있었다. 1896년(건양원년) 2월 6일 발행된 ‘관보 제241호’의 3면에 ‘강화군공립소학교교원 정지석’의 발령이 기재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로써 강화초등학교는 1896년 강화군공립소학교로 설립되었음을 확증할 수 있게 되었다.
『구한말 근대학교의 형성』에 의하면 당시 학부에서는 1896년 전반기에 한성부 공립소학교(1895년 설립)외에 지방에 11개의 공립소학교를 설립한다.
강화군공립소학교는 인천부공립소학교, 충주부공립소학교에 이어 수원군공립소학교와 함께 1896년 2월 4일 교사가 임명되었다.
이후 강화군공립소학교는 공립강화보통학교, 강화소학교, 강화국민학교, 강화초등학교로 그 명칭이 변경되면서 현재까지 123년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아쉬운 점은 1909년 졸업한 학생들이 강화초등학교의 1회 졸업생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1933년 강화공립보통학교 제24회 졸업기념 사진[사진=인천강화교육지원청]
이는 일제가 행사하던 설립인가에 의한 시기부터 졸업대장에 졸업생으로 기록하면서 보통학교 이전의 소학교 졸업기록이 사라진 것으로 관련 학회는 추측하고 있다. 앞으로 1909년 이전의 졸업생 명단을 찾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