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지도부가 24일 당내 바른정당계 의원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사개특위) 간사인 오신환 의원의 사보임을 강행할 것으로 알려지면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이날 오후 오 의원을 사개특위에서 빼고 대신 채이배 의원을 넣기로 했다가 실패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국회 의사과에 오신환 위원에 대한 사보임계를 오늘 오후 5시쯤 제출하려 했다. 하지만 유의동·하태경 의원 등 바른정당 계 의원들이 총출동해 이를 저지하면서 서류 제출조차 하지 못했다. 팩스제출이나 의장실 제출 등 다양한 방법의 시도도 무위로 돌아갔다.
문희상 국회의장 측은 25일이라도 접수가 된다면 오 의원의 사보임을 허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법안들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을 타려면 각각 18명인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에서 재적 위원 5분의 3(11명)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정개특위는 한국당(6명)을 제외한 12명이 패스트트랙에 찬성하는 입장이라 큰 문제가 없어 보이나 사개특위 상황은 복잡하다.
사개특위의 여야 4당 의원 수는 11명(민주 8명, 바른미래 2명, 평화 1명)이라 한명의 이탈만 있어도 패스트트랙은 물 건너간다.
이런 상황에서 오 의원이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안의 신속처리안건 지정안에 반대표를 던지겠다”고 공언하면서 바른미래당 지도부에 비상이 걸렸다.
이제 패스트트랙의 운명은 문 의장의 사보임 허가 여부에 달렸다.
정청래 전 의원은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개특위에서 통과가 됐는데 사개특위에서 부결이 될 경우, 공수처(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법과 검경 수사권 조정은 물 건너가는 것”이라며 “선거제만 고쳐야 되는 것이 민주당으로서는 가장 난감한 상황이 된다”고 말했다.
오 의원의 사보임이 이뤄지면 정개특위와 사개특위가 25일 오후 각각 전체회의를 열어 법안들의 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여야 4당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지역구 225석·권역별 비례 75석 고정 및 연동률 50% 적용, 선거권 연령 만 18세로 하향 등이 핵심이다. 여야 4당이 발의에 앞서 최종 조율 작업 중인 사법개혁 법안들은 같은 날 함께 발의될 전망이다.
바른미래당은 이날 오후 오 의원을 사개특위에서 빼고 대신 채이배 의원을 넣기로 했다가 실패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국회 의사과에 오신환 위원에 대한 사보임계를 오늘 오후 5시쯤 제출하려 했다. 하지만 유의동·하태경 의원 등 바른정당 계 의원들이 총출동해 이를 저지하면서 서류 제출조차 하지 못했다. 팩스제출이나 의장실 제출 등 다양한 방법의 시도도 무위로 돌아갔다.
문희상 국회의장 측은 25일이라도 접수가 된다면 오 의원의 사보임을 허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개특위는 한국당(6명)을 제외한 12명이 패스트트랙에 찬성하는 입장이라 큰 문제가 없어 보이나 사개특위 상황은 복잡하다.
사개특위의 여야 4당 의원 수는 11명(민주 8명, 바른미래 2명, 평화 1명)이라 한명의 이탈만 있어도 패스트트랙은 물 건너간다.
이런 상황에서 오 의원이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안의 신속처리안건 지정안에 반대표를 던지겠다”고 공언하면서 바른미래당 지도부에 비상이 걸렸다.
이제 패스트트랙의 운명은 문 의장의 사보임 허가 여부에 달렸다.
정청래 전 의원은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개특위에서 통과가 됐는데 사개특위에서 부결이 될 경우, 공수처(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법과 검경 수사권 조정은 물 건너가는 것”이라며 “선거제만 고쳐야 되는 것이 민주당으로서는 가장 난감한 상황이 된다”고 말했다.
오 의원의 사보임이 이뤄지면 정개특위와 사개특위가 25일 오후 각각 전체회의를 열어 법안들의 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여야 4당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지역구 225석·권역별 비례 75석 고정 및 연동률 50% 적용, 선거권 연령 만 18세로 하향 등이 핵심이다. 여야 4당이 발의에 앞서 최종 조율 작업 중인 사법개혁 법안들은 같은 날 함께 발의될 전망이다.

바른미래당 사개특위 위원인 오신환 의원(오른쪽)과 유승민 전 대표가 24일 사보임 신청서 제출처인 국회 의사과 앞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