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기념관, 6·25전쟁 관련 ‘스탈린→마오쩌둥 암호전문’ 등 기밀문서들과 기록물 등 전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장빈 기자
입력 2019-06-25 00: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7개의 옥내전시실과 어린이박물관, 옥외전시장으로 구성..무료로 전쟁 영화 감상도 가능

전쟁기념관 '형제의 상'[사진=아주경제DB]

2019년은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지만 한국 현대사의 최대 비극인 6·25전쟁 69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6·25전쟁이 발발한 6월 25일에는 6·25전쟁의 참상과 진실이 보존된 곳을 찾아 평화의 소중함을 배우는 것은 어떨까? ‘전쟁기념관’은 그런 여행을 하기에 매우 좋은 장소다.

전쟁기념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에 있다. 지하철 6호선 ‘삼각지’ 역에서 12번 출구로 나와 걸어서 3분이면 도착한다. 서울 사람들뿐 아니라 지방이나 외국에서 여행 온 사람들도 쉽게 찾아 갈 수 있다. 실제로 전쟁기념관에 가면 외국인들도 많다.
 

전쟁기념관 옥내전시실 앞에 있는 ‘6·25전쟁 참전국 기념비’[사진=아주경제DB]

전쟁기념관은 전쟁을 단일 주제로 5000년 민족사를 조망한 대한민국 유일의 전쟁사 종합박물관이다. 1994년 6월 개관했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 30분∼오후 6시다. 입장 마감은 폐관 30분 전이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관람료는 무료다.

전쟁기념관은 옥내전시와 옥외전시로 구분돼 있다. 전시자료는 총 6300점이 넘는다. 옥내전시실 넓이는 1만4000㎡가 넘는다. 옥내전시실은 7개의 전시실(호국추모실, 전쟁역사실, 6·25전쟁실, 해외파병실, 국군발전실, 기증실 ,대형장비실)로 구성돼 있다. 6·25 전쟁실은 3개가 있다.

야외에는 6·25전쟁 당시 장비를 비롯, 세계 각국의 대형무기와 한국전쟁 상징 조형물, '광개토대왕릉비', '형제의 상', '평화의 시계탑' 등이 전시돼 있다. 옥내전시실 입구 양측 회랑에는 창군 이래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국군·유엔군 전사자 명비가 있다.

‘형제의 상’은 한국전쟁의 비극을 압축적으로 표현한 대형 조형물이다.

6·25전쟁 당시 한국군과 북한군이 됐던 형제가 전쟁터에서 극적으로 만난 실화를 조형화했다. 형인 박규철 소위는 한국군 제8사단 제16연대 소속으로, 동생인 박용철 하전사는 북한군 제8사단 제83연대 소속으로 참전했다.

◆형제의 상, 형제가 한국군과 북한군으로 전쟁터에서 만난 실화 조형화

원주 치악고개 전투에서 만난 형제는 서로를 알아보고 서로에게 겨눈 총을 거두고 얼싸안았다. 한 덩어리가 돼 서로 안고 있는 형제의 모습은 동족상잔(同族相殘)의 비극과 사랑과 용서, 평화의 소중함을 실감하게 한다.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이오시프 스탈린이 마오쩌둥에게 보낸 북한의 전쟁계획에 대한 협조를 요구한 암호전문[사진=아주경제DB]

‘6·25 전쟁실Ⅰ’에는 우리 민족의 힘만으로 해방을 맞이하지 못하고 지난 1948년 남·북한에 각각 단독정부가 수립된 후 북한의 남침으로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한국군이 서울을 수복하기까지의, ‘6·25 전쟁실Ⅱ’에는 한국군이 북진하고 정전협정이 체결되기까지의, ‘6·25 전쟁실Ⅲ’에는 유엔군 관련, 각종 기록물과 문서, 유물, 무기 등이 전시돼 있다.

전쟁기념관에 가면 한국전쟁 관련 많은 기밀문서들을 읽을 수 있다.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평양의 스티코프 대사가 스탈린 등에게 보낸 남침 계획 진행을 보고하는 암호전문[사진=아주경제DB]

1950년 5월 14일 이오시프 스탈린이 마오쩌둥에게 보낸 북한의 전쟁계획에 대한 협조를 요구한 암호전문에는 “현 국제상황이 변했으므로 ‘남·북한 통일사업에 착수하겠다’는 북한 동지들의 제안에 동의하였음. 이 문제는 중국 동지와 북한 동지 간에 사전 합의돼야 하며, 서로 이견을 보일 경우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논의가 이뤄질 때까지 미뤄야 함”이라고 쓰여 있다.

1950년 5월 30일 평양의 스티코프 대사가 스탈린 등에게 보낸 남침 계획 진행을 보고하는 암호전문에는 “김일성이 모스크바 방문 중 요청한 무기와 탄약이 도착해 6월 1일까지는 각 군과 병사들에게 모두 지급될 예정임. 김일성은 ‘6월 말까지는 전투태세가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음. 총참모장이 작전 계획을 김일성에게 보고했으며, 김일성은 이를 승인하고 주 공격 방향을 지정했음”이라고 쓰여 있다.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북한 제4사단장 이권무가 예하 연대장에게 남한을 침략할 태세를 갖추도록 지시한 문서[사진=아주경제DB]

1950년 6월 22일 북한군 수뇌부의 지시에 따라 제4사단장 이권무가 예하 연대장에게 6월 23일까지 남한을 침략할 태세를 갖추도록 지시한 문서도 전시돼 있다.

한국전쟁 관련 문서는 아니지만 한국 현대사의 비극들 중 하나인 ‘여순사건’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내린 ‘여수·순천 지역 계엄령 선포문’도 관심을 갖고 읽을 만하다.

◆“반란군 숨겨주거나 내통하는 자 사형”..여순사건 계엄령 선포문

이 선포문에는 “1. 오후 7시부터 다음날 7시까지 일체 통행을 금함. 2. 옥내·외 집회를 금함. 3. 유언비어를 퍼뜨리거나 민중을 선동하는 자는 엄벌에 처함. 4. 반란군의 소재를 알 경우 즉시 보고할 것. 만일 반란군을 숨겨주거나 그들과 내통하는 자는 사형에 처함”이라고 쓰여 있다.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재일학도병 유물[사진=아주경제DB]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전라남도 여수·순천 지역에서 일어난 국방경비대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의 반란과 여기에 호응한 좌익계열 시민들의 봉기가 유혈 진압된 사건이다. 현재 여순사건 당시 반란군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사형당한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재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재일학도병 유물에도 눈길이 간다. 한국전쟁 당시 일본에서 거주하고 있던 재일교포 학생들은 병역 의무가 없었지만 오직 ‘조국을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641명이 참전해 135명이 전사했다. ‘어둠의 자식들, 신의 아들’이라는 유행어가 생길 정도로 특권층의 병역 기피가 국민들의 공분을 일으키는 현실에서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1950년 8월 10일 포항시에서 한 학도병이 어머니에게 쓴 편지는 한국전쟁의 참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이 학도병은 편지에서 “어머님! 나는 사람을 죽였습니다. 그것도 돌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 十여 명은 될 것입니다. 괴뢰군의 다리가 떨어져 나가고, 팔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너무나 가혹한 죽음이었습니다”라며 “아무리 적이지만 그들도 사람이라고 생각하니, 더욱이 같은 언어와 같은 피를 나눈 동족이라고 생각하니 가슴이 답답하고 무겁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학도병은 다음 날 전사했다.

전쟁기념관에선 ‘인천상륙작전’ 등 한국전쟁에 대한 많은 영상도 상영한다. 6월 매주 일요일 오후 2시에는 전쟁기념관 3층 ‘시네마영상관’에서 전쟁영화 ‘대장 김창수’를 상영한다.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