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은행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올해 1분기 4832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신한은행(6181억원), KB국민은행(5728억원), 우리은행(5394억원)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규모다. 하나은행은 4799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지난해 1분기 기업은행 순이익은 4650억원이었다. 그러나 올해는 3.9%(182억원)나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에서 좋은 성과를 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가계대출을 억제하고, 중소기업 대출을 활성화하도록 금융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은행 역시 중소기업 지원에 적극 나섰다. 기업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지난 3월 기준 155조원을 넘었다. 지난해 말보다 2.5%(3조8000억원) 증가한 규모다. 기업은행 전체 여신의 80%가량은 중소기업대출이다.
정부 정책과 기업은행의 주력 분야가 잘 맞아떨어진 셈이다. 기업은행은 혁신금융 강화에도 적극적이다. 정부는 대기업과 혁신기업의 금융 격차를 줄이기 위해 부동산이 아닌 담보를 활용한 대출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실적이 좋은 만큼 김도진 행장의 연임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 김도진 행장의 임기는 올 연말까지다. 그는 혁신금융을 강화하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 최근 열린 '혁신금융 민관합동 TF' 회의에서 동산담보대출 시 매각정보를 활용할 인프라를 구축해달라는 의견을 당국에 건의하기도 했다.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2000년대 들어 기업은행장 중 연임에 성공한 사례는 2004년 3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역임한 故강권석 전 행장(제20~21대) 뿐이다.
기업은행 한 관계자는 "주력 분야인 중기대출에 더욱 집중하고 체계적으로 건전성을 관리해 수익성을 강화했다"며 "자회사의 고른 성장 등에 힘입어 1분기 좋은 실적을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