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기업은 5G 생태계를 조성하는 범국가적 추진체계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5G+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19일 첫 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전략위원회는 관계부처 차관, 민간위원 등 24명으로 구성됐다. 민간위원에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와 함께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실감콘텐츠와 팹리스 분야 중소기업들이 포함됐다.
국내 5G 가입자는 상용화 69일 만인 지난 10일 100만명을 돌파했다. 세계 최초 상용화에 따른 글로벌 시장 선점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5G 스마트폰은 미국과 유럽, 호주 시장에 진출했다. 삼성전자는 5G 장비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했으며, 국내 중소·중견 부품업체들의 동반성장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민간위원 자격으로 참석한 이동통신 3사 수장들은 5G 생태계 조성을 위해 중소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서플라이체인이 정비돼 5G에서 중소기업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발언했다. 또한 양자정보통신을 언급하며 보안도 5G에서 중요한 요소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창규 회장은 표준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황 회장은 "우리나라가 5G 표준의 85%를 보유하고 있어 상용화 시 산업 전반의 시너지가 가능하다"며 "특히 5G B2B(기업 간 거래) 사업에서는 스마트팩토리가 중요한데 이에 필요한 5G 모듈을 삼성전자 등에서 적극 개발해달라"고 부탁했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도 생태계 구축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5G 콘텐츠는 개별 사업자만의 노력으로는 어렵다"며 "정부 차원에서 중소업체들이 5G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방형 스튜디오, 장비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약속했다. 유영민 장관은 "상용화까지는 정부가 리더십을 발휘했다면, 이제는 지원자의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며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확장해 나가도록 5G플러스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위원장을 맡은 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도 민·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와트의 증기기관을 예로 들었다. 김 위원장은 "영국이 증기기관의 특허를 20년 연장한 덕분에 산업혁명이 시작됐다'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나가는 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