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우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주택도시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열린 '2019 아주경제 부동산정책포럼' 패널 토론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김성우 연구위원은 "내년 금리, 선거 및 정부 규제 등 사회 환경적 요소들이 주택시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특히 수요가 전반적으로 침체된 상황이기 때문에 거래는 자연스레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역별 양극화 양상도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수도권의 경우 자연스럽게 서울 강남으로 일부 수요가 몰릴 것으로 관측된다"며 "다만 HUG 본사가 부산에 있다 보니 부산과 경상남도 상황은 가까이 들여다보는데, 실제로 일대는 통계 지표만큼이나 실물 경기는 좋지 않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금일 포럼을 통해 HUG의 분양보증 역할론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언급됐는데, 사실 분양보증 자체가 공공성을 띠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긍정적 측면도 고려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무엇보다 HUG는 미분양 관리지역과 관련해 시장 리스크를 보증 변수를 통해 흡수하고, 건설 시장을 작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특수 기관"이라고 설명했다.
김성우 연구위원은 "HUG도 최근 주택시장 변화와 관련해 또 다른 건설 관련 맞춤형 상품을 만들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며 "또 시장이나 업계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주시면 합리적 보증 방안 및 리스크 관리 시스템에 대해 함께 고민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