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박 시장은 '취임 1주년 시정전반 정책에 대해 시민 10명 중 7명이상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에 대해 시민들께 감사의 마음과 함께 더욱 강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시정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 했다.
시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CNR에 의뢰해 지난 6월 13일부터 21일까지 광명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교육, 복지, 일자리, 평화철도, 문화 등 시정전반 정책에 대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종합만족도는 73.4%로, 시민들의 긍정적 평가가 부정적 평가 25.3%를 세 배나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부터 고 3학생을 대상으로 한 무상교육에 대한 시민 인지도가 65.4%로 높게 나왔고, 무상교육, 무상급식, 무상교복의 3대 교육복지 정책에 대해서도 만족 58.1%, 보통 27.7%, 불만족 14.2%로 큰 호응을 얻었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또 시가 지방정부 중 가장 먼저 준비해온 남북평화철도 출발역 지정 사업에 대해 수도권 서남부 교통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전국 최대 규모 KTX광명역의 가능성이 시 발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클 것이라는 점도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다만, 국토부에서 추진 중인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계획에 대해서는 도덕산과 구름산을 연결하는 산림 축을 갈라놔 광명의 허파를 훼손하고 시민의 건강권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시민 58.1%(절대반대 22.8%, 반대 35.3%)가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민의 삶과 직결되는 청년 취·창업 문제 해결, 신중년 공공일자리 참여기회 확대, 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 보호, 철산동 시민운동장 지하공영 주차장 조성, 서울시 근로청소년 부지에 문화·체육시설 등 반영 등에 다양한 시민들의 요구가 제기됐다.
아울러 광명시 소재 서울시 땅이 관내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 지역발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기대감도 64.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는 동별 인구비례에 따라 지역별, 성별, 연령별로 표본을 무작위 추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15%) 및 대면(85%) 면접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3.1%p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