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연결기준 2분기 잠정실적이 매출 56조원에 영업이익 6조5000억원이라고 5일 밝혔다.
전기 대비 매출은 6.89%, 영업이익은 4.33% 늘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시장 예상을 웃돌았지만,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24%, 영업이익은 56.29% 떨어졌다.
증권가는 부문별 영업이익을 반도체 3조원대, 디스플레이(DP) 7000억~9000억원, 모바일·IT(IM) 1조원대, 소비자가전(CE) 6000억~8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번 잠정실적은 반쪽짜리 어닝 서프라이즈로 풀이된다. 김선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가 밝힌 ‘디스플레이 관련 1회성 수익’을 9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이 수익을 제외하면 2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와 1분기 영업이익을 밑돌 수 있다. 갤럭시S10 판매 둔화와 출시가 연기된 갤럭시 폴드 준비 등이 영향을 줬다는 관측도 나온다.
문제는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로 시작된 한일 무역 갈등이다. 반도체 실적은 메모리 판가 하락으로 덩달아 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가 당장 주요 소재 공급처 확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하반기 높은 실적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이라는 평가도 있다. 일본 무역 보복을 계기로 삼성전자가 소재 국산화율 끌어올리기에 주력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반도체 소진으로 재고 과잉이던 메모리 업황이 긍정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D램과 낸드 시장 점유율 60%가 한국 기업에서 나오는 만큼, 일본 정부가 받을 압력도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스텔라 등 한국 의존도가 높은 일본 업체들의 도산이 우려돼 일본 내 거센 반발도 예상된다. 다만 그는 일부 반도체 재료 공급선을 국내 업체로 전환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지난 4월 133조원 투자와 1만5000명 고용 창출로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세계 1위에 오른다는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이달 3일에는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19 코리아’를 열고 반도체 신기술을 발표했다. D램 생산에 극자외선(EUV) 공정을 도입해 경쟁사와 격차를 벌린다는 전략이다.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 삼성전자가 소재 국산화에 성공한다면, 일본에 휘둘리지 않고 비메모리 반도체 1위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일본의 무역 보복이 거꾸로 삼성에게 도움을 주는 장면으로 읽히는 이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