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이 오는 14∼18일까지 한국을 공식 방문한다. 문 대통령은 오는 15일 청와대에서 리블린 대통령과 한·이스라엘 정상회담과 오찬 등을 한다.
리블린 대통령의 공식 방한은 문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이스라엘 대통령의 방한은 2010년 페레스 대통령 이후 9년 만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이스라엘은 양국의 강점인 정보통신(IT)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의 협력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9일 브리핑에서 "이스라엘은 세계적인 혁신창업 국가로서 하이테크 원천기술과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미래산업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 여지가 많은 국가"라고 밝혔다.
이스라엘은 국가 규모 대비 연구인력 및 연구개발(R&D) 투자와 1인당 IT 기업 창업 수가 세계 1위인 '창업 국가'다. 나스닥 상장사의 20%(94개·2018년 기준)를 점유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글로벌 기업 인공지능(AI) 분야의 R&D 센터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양 정상은 1962년 수교 이래 지난 반세기 동안 발전해 온 양국 협력관계를 평가하고 △한·이스라엘 자유무역협정(FTA) △인적·문화 교류 △한반도 및 중동 정세 등에 관해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창업 생태계 조성을 비롯해 자율주행 자동차, AI, 5세대(5G) 이동통신 등 미래 첨단산업 분야의 실질 협력 강화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할 전망이다.
한 부대변인은 "이번 이스라엘 대통령의 방한으로 최근 주요 아랍국가 정상 및 정상급 인사들의 방한에 더해 우리의 대(對)중동 외교의 지평을 더욱 다변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리블린 대통령의 공식 방한은 문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이스라엘 대통령의 방한은 2010년 페레스 대통령 이후 9년 만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이스라엘은 양국의 강점인 정보통신(IT)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의 협력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9일 브리핑에서 "이스라엘은 세계적인 혁신창업 국가로서 하이테크 원천기술과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미래산업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 여지가 많은 국가"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과 루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은 오는 15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한다. [사진=청와대 제공 ]
또한 양 정상은 1962년 수교 이래 지난 반세기 동안 발전해 온 양국 협력관계를 평가하고 △한·이스라엘 자유무역협정(FTA) △인적·문화 교류 △한반도 및 중동 정세 등에 관해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창업 생태계 조성을 비롯해 자율주행 자동차, AI, 5세대(5G) 이동통신 등 미래 첨단산업 분야의 실질 협력 강화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할 전망이다.
한 부대변인은 "이번 이스라엘 대통령의 방한으로 최근 주요 아랍국가 정상 및 정상급 인사들의 방한에 더해 우리의 대(對)중동 외교의 지평을 더욱 다변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