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문화 관광부는 지난 31일에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양안관계를 고려해 8월 1일부터 47개 도시에 거주하는 대륙 주민들의 대만 개별 여행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고 공고했다.
베이징, 상하이, 톈진 등 47개 도시에 호적을 둔 거주민들에게 대만 개인여행을 허용해왔는데 8월부터 단체 여행을 통해서만 대만을 여행할 수밖에 없게 됐다.
대만 공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만을 찾은 중국 대륙 관광객은 단체 여행과 자유 여행 관광객이 각각 130만 명과 140만 명에 달하고 올해 상반기 167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30% 증가했다. 대만 관광업계에 따르면 이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 대륙 관광객이 70만 명 급감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 여행 중단 조치를 발표하며 “현재의 양안 관계를 고려했다”고만 밝혔던 중국 정부는 이런 조치가 내년 대만 대선에서 차이잉원 총통의 패배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커무저우(柯牧洲) 대만관광협회 부이사장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16년 대선 앞둔 2015년 하반기 중국은 당시에도 시스템 교체를 이유로 대만 통행증 발급에 차질을 빚었다”며 “그러나 이전은 대부분 단체를 대상으로 한 것인데 이번에 처음으로 개인여행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것은 정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대만 개인여행 금지’ 조치를 나왔어 대만 국민의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대만에 거주한 종(鍾)씨는 "(금지 조치)는 대만에 대한 경제 제재로 대만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중국 대륙 관광객은 매년 감소해 대만 관광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진(陳) 씨는 대만 민중과 관계가 없으며 대만 주민들은 대륙 관광객으로 살지 않고 일부 업종만 혜택을 받고 있다며 (중국 대륙과 대만)이 서로 교류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