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전날 최종구 금융위원장 주재로 시중 은행장, 금융공기업 기관장들이 모여 대응 방안을 논의했고 은행별 대응책도 속속 전해지고 있다.
먼저 우리은행은 3조원 상당의 지원책을 마련했다. 1조원 규모의 상생 대출과 함께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특별출연해 2020년까지 1조5000억원 규모의 여신을 지원하고, 당장 5일부터 '경영안정 특별지원' 자금 500억원도 푼다.
우리은행은 또 반도체 등 대표적인 피해 분야의 기업에 최대 1.2%포인트 대출금리를 우대하고, 핵심 수수료를 전액 면제해주는 특화상품도 준비 중이다.
신한은행은 업체당 10억원까지 모두 1조원 규모의 신규 대출을 지원한다. 신규 여신에 대해서는 최고 1%포인트 금리를 감면하는가 하면, '일본 수출 규제 금융애로 신고센터'를 설치해 피해 기업에 관련 정부 지원 정책 등 각종 정보와 재무 컨설팅을 제공한다.
NH농협은행은 일본산 소재·부품 수입 기업에 할부상환금 납입을 최대 12개월 유예해주는데 이어 신규 대출이나 상환 연기 시 금리를 0.3%포인트 낮춘다. 특히 수출액의 99%가 일본에서 나오는 파프리카 재배 농가를 우선해 농가들에게도 금융지원을 할 방침이다.
KB국민은행은 한도를 정하지 않은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마련해 해당 기업이 위기를 넘기는 데 필요할 때까지 도움을 주기로 했다. 기업에 환율 우대와 외국환 관련 수수료 감면·면제 혜택과 더불어 '수출 규제 피해 기업 금융지원 특별대책반'을 운영한다.
KEB하나은행은 기업들의 수출제한 조치, 금융보복, 불매운동 등 피해 양상을 세분화하고 대체품목 생산기업까지 포함시켜 지원할 예정이다. 글로벌 소재·부품 기업에 대해선 인수합병(M&A)을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중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일본의 부당한 처사에 은행들도 정부 기조에 맞춰 즉각 대응체제를 갖추고 있다"며 "이번 사태의 장기화 여부와 대내외 변수 등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