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8/26/20190826152751647518.jpg)
[사진=윤상민 기자]
경희대 총동문회는 26일 오후 3시 경희대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측에 △전 구성원이 합의하고 법인 이사회가 의결한 총장선출안 시행 △박영국 총장 직무대행 해임 △강재식 교수협의회 의장 사임 및 사표 제출 등을 요구했다.
사건은 201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인원 경희학원 이사장은 학교 구성원에게 공지 없이 이사회를 개최해 2013년 11월 3선 총장에 선임됐다. 조 이사장의 경영능력·소통능력·인사난맥에 대한 불만 여론이 높아졌고, 문과대 교수들이 지난해 7월 조 이사장의 4선 반대 성명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학생·교수·직원·동문회 등으로 구성된 대학평의원회와 총동문회 고문단이 공개적인 반대 성명을 내놨다. 문과대·의과대 역시 반발했다.
지난해 8월 조인원 이사장은 법인 이사회에서 총장 4선 포기를 선언했다.
법인 이사회와 범대위 간 △교수와 직원 직접 투표, 학생과 동문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 투표 △투표지분은 교수 54%, 직원 15%, 학생 15%, 동문 15% △총장 후보 중 3명 연기명 투표 후 법인 최종 선임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 30명 구성 등을 골자로 한 ‘총장선출제단일안’ 협상이 지난해 11월 타결됐다.
하지만 총장 퇴임 당일 경희학원 이사장으로 취임한 조 이사장은 지난해 3월 법인이 추천하는 총장후보 1명과 투표로 선출된 후보 3명 중 1명을 법인이 최종 낙점하는 이른바 ‘법인안’을 들고 돌아왔다.
지난 3월 취임한 강재식 교수협의회 의장 등 일부 교수가 조 이사장의 뜻에 동참해 교수들이 총장후보를 추천하는 간선제도 추진했다. 이에 구성원들은 “교수협의회 의장이 총장 후보 추천권을 갖게 돼 개인적 영역이 극대화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 과정에서 총동문회 측과 학교법인 간 갈등은 최고조에 도달했다. 총동문회를 배제한 비밀 간담회가 박영국 총장 직무대행 주선으로 열린 것으로도 알려진다. 이 같은 정황을 두고 권오형 총동문회장은 “조 이사장의 총장선출 방해 시도, 총장직무대행의 중재, 교수협의회 집행부의 결탁 등 총장선출을 둘러싸고 법인·대학본부·교수협의회가 내통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경희대 관계자는 “지난 3월까지 총장 선출 업무를 중단한 것이 아니라 법률 전문가, 선거 전문가, 내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국내외 우수대학 사례를 조사 분석해 총장후보선출규정 초안을 마련해 이사회는 구성원 합의안이 마련된 후 총장 선임 절차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총동문회 배제와 관련해서는 “구성원 단체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며 "(총동문회 측이 요청한 관계자 처벌에 대해서는) 요구사항은 사실과 다르기 때문에 대학본부에서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간선제 역시 교수협의회가 내부적으로 결정한 사항이며 대학본부의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