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공공부문계정’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정부와 공기업 등의 수지는 전년 54조1000억원 대비 4조7000억원 줄어든 49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지는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값이다.
지난해 공공부문 전체 총수입은 전년의 807조7000억원 대비 5.7%(46조4000억원) 늘어난 854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공공부문이 지난해 지출한 금액은 804조원7000억원으로 전년 753조7000억원 대비 6.8%(51조1000억원) 늘어났다.
중앙·지방정부와 사회보장기금을 포함한 일반정부는 지난해 649조1000억원의 수입을 올렸다. 전년 604조9000억원 대비 7.3%(44조2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법인세, 소득세 등 조세수입과 국민연금 등 사회부담금 수입이 늘어난 부분이 영향을 끼쳤다.
일반정부의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수지는 전년 대비 4조4000억원 늘어난 53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지난해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비금융공기업의 수입은 정부 지원금이 감소 요인으로 전년 대비 0.6%(1조원) 감소한 173조3000억원이었다. 같은 기간 지출은 투자, 원재료 가격 상승 등 영업비용이 증가하면서 183조3000억원으로 4.9%(8조5000억원) 늘었다. 비금융공기업 수지는 -10조원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산업은행, 주택금융공사 등 지난해 금융공기업의 총수입은 이자 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8.8%(3조1000억원) 늘어난 38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총지출은 예금취급기관의 이자 지급액이 증가하면서 같은 기간 8.8%(2조6000억원) 늘어난 3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금융공기업 수지 흑자규모는 5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000억원 확대됐다.
지난해 국내 공공부문 수지는 명목GDP 대비 2.6%를 기록했다. 사회보장기금을 제외한 공공부문 수지는 명목GDP 대비 0.6% 수준에 그쳤다. 일반정부 수지는 명목GDP대비 2.8%였고, 공기업 수지는 -0.2%를 기록했다.

[자료=한국은행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