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신협, 새마을금고 등 저축은행을 제외한 비은행 대출 취급기관의 서울지역 대출 비중은 같은 기간 28.4%에서 18.7%로 낮아졌다. 은행의 서울 지역 취급 비중도 마찬가지로 41.7%에서 38.3%로 하락했다.
저축은행만 서울 지역 대출 비중이 늘어난 것인데, 이는 저축은행 부실 사태 이후 등장한 저축은행 대부분이 서울을 중심으로 대출 영업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저축은행은 전국을 6개 영업 구역으로 구분하고 본점 소재지를 기준으로 주된 영업 구역을 지정해 해당 지역에 대한 의무대출 비율을 정하고 있다.
이 선임연구원은 "부실처리를 위한 인수합병 과정에서 복수의 영업 구역을 보유한 저축은행이 등장하게 됐다"며 "이들의 대출 영업이 서울 지역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서울의 대출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대형 저축은행은 복수의 영업 구역 대출을 합해 의무대출 비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서울과 지방을 영업 구역으로 갖고 있으면 서울에 대출 역량을 집중해도 의무대출 비율을 충족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저축은행이 서울뿐만 아니라 모든 영업 구역에서 지역 서민금융기관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지역별 대출 취급현황 등을 정기적으로 공시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