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는 향후 12개월간 한국 기업의 신용등급에 대한 부정적 조정이 긍정적 조정보다 많을 것이라고 10일 밝혔다.
현재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부여하는 27개 한국 비금융 기업의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이 대부분 신용도에 부정적이라는 게 무디스의 설명이다. 19개사는 신용도에 부정적이며, 5개사는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나머지 3개사는 중립적 기업으로 평가됐다.
상반기 국내 산업 경기가 약화된 게 컸다.
무디스는 "신용등급 부여 대상인 24개 한국 비금융 민간기업 중 13개사는 등급 전망이 '부정적'이거나 하향조정 검토 중이며 전망이 '긍정적'인 기업은 없다"며 "무역갈등과 글로벌 성장 둔화로 인한 업황 약화, 일부 기업의 대규모 투자 계획 등을 고려할 때 향후 12개월간 한국 기업 신용도는 추가로 약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완희 무디스 부사장 겸 선임 크레디트 담당관은 "미·중 무역갈등은 수출지향적인 기업의 실적에 계속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수출 규제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게 무디스의 시각이다.
유 담당관은 "일본의 수출 규제는 행정 절차 지연에 그쳐 한국 기업 실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기업 신용도 평가가 향후 부정적으로 나올 경우, 대외 신인도에도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한 민간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금융 펀더멘털 등이 견고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국가 대외신인도까지는 영향을 주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국내 기업에 대한 신용도 평가가 하향조정될 시 수출업계의 해외 진출이 제한될 수 있는 만큼 수출 관련 기업에 대한 보다 폭넓은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무디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