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송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과기정통부 및 소속·산하기관 사이버 공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지난 8월 31일까지) 과기정통부와 소속·산하기관 사이버 공격건수는 1만1108건이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지난 2015년부터 2017년 3년간 사이버 공격 건수는 각각 2512건, 1791건, 1113건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이후 2018년・2019년(8월 31일 기준)의 경우 각각 2456건, 3236건으로, 전년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 통계 자료가 8월 31일 기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사이버 공격은 2017년 이후 올해 까지 해마다 2배꼴로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자료훼손 및 유출시도’ 건수가 지난해 기준 1095건으로 전년 대비 약 13배, ‘서비스 거부 공격’ 건수는 올해 8월 31일 기준 134건으로 지난해 대비 22배 증가했다.
송 의원은 “이번 조사 결과는, 국가 기초·응용 과학기술 R&D, 사이버보안정책을 관장하고 있는 과기정통부 및 관련 공공기관의 기밀 자료를 훼손하고 빼돌리려는 시도가 급증 하고 있는 것을 여실히 보여 준다”며 “정부・공공기관을 상대로 한 다양한 국가발 사이버 공격이 국가안보 및 경쟁력의 치명적인 위협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사이버공격에 대한 대응 현황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송희경 의원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