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훈풍을 불어넣었던 평양 정상회담이 오는 19일로 1주년을 맞는다. 그러나 지난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남북 및 한·일 관계가 모두 '시계 제로' 상태에 빠진 상황 속에서 이달 말 북·미가 비핵화를 향한 실무협상에 돌입한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의 촉진자 역할론이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북·미 간 실무협상은 수주 내 재개될 것으로 점쳐지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통미봉남(通美封南)' 전술을 재차 취하며 남북 관계는 여전히 경색 국면을 맞고 있다.
남북이 지난해 9월 '평양 공동선언'을 통해 마련한 여러 합의사항도 뚜렷한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일례로 평양 공동선언 합의사항 중 하나인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 복구와 화상 상봉 등을 추진하기 위해 앞서 열려야 할 적십자회담은 감감무소식이다. 또한 남북 정식회담은 지난해 12월 14일 체육분과회담 후 9개월간 중단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수석·보좌관 회의를 통해 "곧 북·미 실무 대화가 재개될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그 역할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해 한반도 평화 정착과 평화경제로 공동 번영의 미래를 당당하게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한·일 정상회담은 유엔총회 계기에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문 대통령이 이번 유엔총회에서 '선택과 집중'을 할 것이라고만 답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역시 개각 직후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한·일 관계 전망에 대해 "새로운 체제하에서 먼지만큼도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꽉 막힌 남북 관계와 한·일 갈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자 무대를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문 대통령이 이번 유엔총회 등 다자 무대에서 우리 위상을 정립하는 게 우선"이라며 "그래야 북한 비핵화 이슈든 일본의 경제보복이든 국제 사회로부터 호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